2026년, 당장 3년 뒤부터 수도권 내 쓰레기 직매립이 전면 금지됩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서울시는 소각장 증설을 대안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거센 주민 반발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차유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달 열린 상암동 쓰레기 소각장 주민설명회.
소각장을 증설해도 오염 물질 영향이 없다는 설명 자리였지만 주민 반발로 아수라장이 됐습니다.
"백지화! 백지화"
쓰레기 처리 문제는 발등에 떨어진 불입니다.
서울에서 하루에 배출되는 생활 폐기물이 3,200t.
이 가운데 약 2,200t은 서울에서 소각하고 나머지 1,000t은 인천에 있는 매립지에 묻습니다.
그런데 1,000t을 인천에 보내는 게 2025년까지만 가능합니다.
관련 시행규칙 개정으로 2026년부터 직매립이 금지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지난해 서울시가 내놓은 대안이 이미 소각장이 있는 상암동에
1,000t 규모의 소각장을 새로 짓겠다는 건데 주민 반발이 여전히 거셉니다.
[정삼모 / 서울시 자원회수시설건립팀장(지난 18일) : 전반적으로 각 항목별로 보시면 환경기준에 대해서 만족하고 모델링 통해 평가해 본 결과는 모두 만족해서 건강에 대해서는 걱정을 안 하셔도 되는 것으로 평가되는 상황입니다.]
상암동에 소각장을 신설해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건 아닙니다.
서울시는 상암동에 1,000t 규모의 소각장을 새로 짓는 대신 현재 750t을 처리하는 기존 소각장을 2035년까지 없애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 소각장을 폐쇄하면 또다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하고 그때도 다른 자치구에 있는 소각장을 증설할 가능성이 큰데 지금 같은 격한 갈등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윤정희 / 마포구 주민(지난달 28일) : 우리가 소각장이 없습니까? 750톤, 5개 구의 쓰레기를 매일 750톤씩 태우고 있습니다. 우리는 1,000톤의 추가 소각장 결사 반대합니다.]
전문가들 역시 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소각장 신설은 불가피하다는 데 동의합니다.
생활 폐기물을 절감하거나 소각량을 줄이는 노력을 훨씬 강화해야 한다는 게 전제조건입니다.
[배재근 / 서울과학기술대 환경공학과 교수 : 전처리 시설이란 것은 종량제 봉투를 파봉, 파쇄하고 선별하는 장치입니다. 굉장히 간단하게 쉽게 빠른 시간에 설치할 수 있기에 소각로가 증설되기 전까지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 (중략)
YTN 차유정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3012401271757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