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백악관 "한미일 정상회담 일정 없지만 가능성 있어" 外

연합뉴스TV 2021-06-08

Views 0

[김지수의 글로벌브리핑] 백악관 "한미일 정상회담 일정 없지만 가능성 있어" 外


[앵커]

백악관이 오는 11일부터 13일까지 영국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 'G7' 정상회의 기간에 한미일 3국 정상회담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긴축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밤사이 들어온 글로벌 뉴스, 김지수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주 금요일부터 영국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 기간에,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이 개최될지 관심이 큰데요. 백악관이 관련 언급을 했다면서요.

[기자]

오는 11∼13일 영국 콘월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 'G7정상회의' 기간에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는 건 아니지만,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3자 간 회담과 관련해 일정이 잡힌 건 없지만, 그 곳에서 실제로 어떤 것이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발언은 G7 정상회의 기간에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현실화하면 2017년 9월 이후 3년 9개월 만의 3자 정상회담이 열리는 겁니다. 이번 G7 정상회의에는 회원국인 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외에도 한국, 인도,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4개국 정상도 초청받았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기간에 G7 정상들과 양자회담을 잇따라 열 것이라고 백악관이 밝힌 바 있습니다. 물론, 한미 양자회담 여부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그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습니다.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을 위해 한국, 일본과의 연대를 중요하게 여기는 만큼, 3자 접촉 가능성도 열려 있는 것으로 관측돼 왔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올여름 백악관에 초청하기로 했습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이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확고히 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외국 정상과 회담하는 건 우크라이나가 세 번째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취임 석달 만인 지난 4월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첫 대면 회담을 한 데 이어, 지난 달에는 문재인 대통령과 두 번째로 회담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이 유럽 순방 전에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한 건 우크라이나 지지를 과시하려는 것으로 보이며, 또 오는 15일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러시아의 크림 반도 점령을 우려하면서 우크라이나를 방어하겠다는 걸 시사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앵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후 다자 정상외교에 나서면서 점점 외연을 넓혀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바이든 행정부가 재미 한인과 북한에 있는 가족을 만날 수 있도록 상봉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이네요.

[기자]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은, 재미 한인들의 염원 중 하나인 북미 이산가족 상봉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하원 청문회에서 그레이스 멩 민주당 의원으로부터 한국계 미국인 이산가족의 상봉 노력을 주문하는 질의를 받았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정말 가슴 아픈 일이라며 약속할 수 있는 건 전적으로 노력하는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그레이스 멩 의원은 지난 2월 북미 이산가족 상봉을 지원하고 국무부에 이산가족 상봉 논의를 요구하는 내용의 법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한국계 영 김 공화당 하원 의원도 지난 4월 북미 이산가족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습니다. 이산가족 상봉안은 2019년 미 의회에 발의돼, 지난해 하원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처리됐지만, 상원을 통과하지 못한 상태에서 의회 임기 만료로 자동 폐기됐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국무부 대북인권특사 임명 계획을 묻는 질의에, 특사를 임명하기로 결정했다면서도 시한이 정해진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검증 과정이 점점 더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며 고된 일이 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 국무부 대북인권특사는 2004년 미국의 북한인권법 제정과 함께 신설됐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2017년 1월 이후 공석으로 남아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경제 이슈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글로벌 경기회복세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피하기 위해 '돈 풀기 축소'를 모색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습니다.

[기자]

인플레이션 징후가 곳곳에서 나타나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긴축 전환'을 모색하는 초기 단계라는 진단이 미 언론에서 나왔습니다. 미 CNBC 방송은 연준이 시장으로 하여금 '자산매입 프로그램'의 축소를 의미하는 '테이퍼링'에 대비하게 만드는 작업의 초기 단계에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르면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테이퍼링'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이 방송은 분석했습니다. 논의를 거쳐 실제로 '테이퍼링'이 시작되는 시점은, 빨라야 올해 후반일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현재 연방준비제도는 코로나19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매달 1천200억달러, 133조5천억원 규모의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테이퍼링' 논의 전망은 일자리를 비롯한 미국의 경제 상황이 코로나19로부터 빠르게 회복되고 있음을 전제로 한 겁니다. 경기 회복 과정에서 물가가 급등해 인플레이션 우려도 제기되지만, 연준은 물가 상승이 일시적일 것으로 판단해, 현재로서는 긴축 시점을 앞당길 계획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아울러 연준은 2013년 양적완화 시사 직후 채권 금리의 급등을 비롯한 '긴축 발작',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긴축으로 전환될 때 금융시장이 겪었던 충격을 되새기며 신중하게 접근하는 분위기입니다. '긴축 발작'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준이 맞닥뜨릴 수 있는 최대 리스크로는, 초완화적 통화 정책이 너무 오래 이어지고 있다는 점,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될 수 있는 점이 꼽힙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수 있다는 공포가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목재와 철광석, 구리 가격이 역대 최고로...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
RELAT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