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안보라 앵커
■ 출연 :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구성 : 최혜정 작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결혼도 안 해,출산도 안 해.요즘 한탄과 탄식이 난무하지만 해마다 최저점을 찍고 있는 출산율,출구 없는 지하실 같습니다. 출산율이 떨어지는 게우리나라만의 일은 아닌데요,그래도 다른 나라는한국만큼 극단적이지는 않다고 합니다. 저출생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합니까?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정재훈 교수 연결 돼 있습니다. 교수님 나와계시죠.
[정재훈]
안녕하세요.
통계청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 부분부터 살펴볼게요.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이 0.6명대로 추락했고요,연간 출산율은 0.72래요. 이게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출산율이랑 비슷한 수치라면서요?
[정재훈]
2020년부터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서기 시작했고요. 지금까지도 그래왔지만 앞으로 여전히 아이 낳지 않는 사회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고. 지금 추세대로 간다면 2072년, 지금 청년들이 노인이 됐을 때 사망자 수가 69만 명 되는데 출생아 수는 16만 명 정도. 그러니까 사망자와 출생아 수 차이가 53만 명 정도에 이르는 그런 상황이 되겠죠. 그래서 예를 들면 우리가 지하철을 타면 지금 기준으로 어르신은 11명 탈 때 아이 1명 정도 타는 풍경, 이런 것들을 우리가 볼 수 있게 되겠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지하철 한 칸에 아이 1명이라면, 교수님 말씀하신 대로 몇십 년이 지나면 아예 전동차 전체에 아이 1명일 수 있는 상황이 되는 셈이네요.
[정재훈]
그렇죠, 그런 셈이 되는 거죠. 이렇게 출생률이 낮다 보니까 인구소멸이 빨라진다고 표현하잖아요. 그만큼 가파른 속도로 출생아가 줄어든다는 건데 출생아가 0이면 정말 말 그대로 한국 자체가 소멸되는 거 아니겠습니까?
[정재훈]
숫자적으로 그렇게 얘기할 수 있지만 또 서유럽 복지국가 같은 경우를 보면 수십 년 동안 출생아 수, 사망자 수 비교하면 인구가 1000만, 2000만 줄어드는 상황이었지만 외국인 노동자나 이주인구들이 들어와서 1000만, 2000만 채우면서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그런 해결방법도 저희가 생각해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40304090218794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