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달부터 홍콩H지수 연계 ELS 상품의 대규모 손실이 현실화되면서 은행들의 고위험 투자상품 판매를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앞서 DLF 사태 이후 금융소비자보호법이 시행됐지만, 은행이 자신들의 실적에만 눈멀어 무분별하게 판매를 유인했다는 지적입니다.
엄윤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올해 상반기에만 무려 10조 원이 넘는 손실이 현실화할 예정인 홍콩H지수 연계 ELS 상품.
가입자들이 바라는 건 크게 2가지입니다.
원금 보상을 해달라는 것, 그리고 애초 은행이 이런 고위험 상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해달라는 겁니다.
[홍콩H지수 연계 ELS 가입자 : 다시는 이런 걸 은행에서 취급 안 했으면 좋겠어요. 아무것도 모르게 앉은 자리에서 단 1~2분 만에 가입 상품을 만들어서 거기에서 선동해서 가입시켜놓고 그다음에 나 몰라라 하고.]
예·적금처럼 안정적인 투자 성향을 가진 고객이 대다수인 은행이 고위험 상품을 위탁 판매하는 게 맞지 않는다는 취지입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2019년 DLF 사태를 계기로 은행의 고난도 금융상품 신탁 판매를 금지했습니다.
[은성수 / 당시 금융위원장(지난 2019년 11월) : 은행에서는 고난도 사모펀드 및 신탁의 판매를 제한하겠습니다. 은행은 예금과 같은 원리금 보장 상품을 주로 취급하는 만큼 투자자를 오인시킬 수 있는 고위험상품 판매는 자제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은행권의 강한 반발로 결국, 금융당국은 판매 한도 제한과 소비자 보호 조치 강화를 조건으로만 파생상품을 팔 수 있도록 한발 물러섰습니다.
하지만 이번 ELS 사태를 계기로 은행권이 이 같은 약속을 지키지 않는 정황들이 드러났습니다.
2021년 당시 미·중 갈등으로 홍콩 증시의 앞날이 불투명한데도 자체 판매 한도를 오히려 늘렸고,
핵심성과지표에서 ELS 같은 고위험 상품을 팔아야만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한 게 대표적입니다.
[이복현 / 금융감독원장(지난 9일) : 일부 상당히 부적절한 KPI 설정이라든가 여러 가지 운영상의 문제점이 드러난 마당에 지금 창구에서 판매가 어떻게 문제점이 있는지 지금 검토해서 보고 있는 것이고….]
은행 창구에서 증권사에서나 파는 파생 상품 판매를 아예 취급하면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입니다.
은행들은 난감한 입장입니다.
파생상품 판매로 인한 수수료 수익 외에 은... (중략)
YTN 엄윤주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40115053258678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