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 지나 또 접종?…"유행 예측에 더 집중해야"
[앵커]
방역당국은 코로나 백신 추가접종 간격을 4개월로 권장해왔습니다.
일찌감치 접종받은 분들이라면 지금쯤 다시 맞을 시기가 됐지만, 접종률 제고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60세 이상 등 건강취약계층부터 시작한 동절기 코로나 추가접종.
방역당국이 접종간격을 4개월로 권장해, 초반에 접종받았다면 4개월이 도래한 지금쯤 다시 접종을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최근 추세라면 60세 이상 고위험군의 접종률도 더 오르긴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유행 자체가 잦아드는 상황에서…새로운 변이가 나오지도 않고 결국은 오미크론인데, 걸렸던 사람들 입장에서 보면 사실은 면역력만 있다면 중증화율은 낮은 거거든요."
전문가들은 유행이 안정화된 지금, 방역당국이 접종 권고만 강조할 게 아니라 고위험군을 중심으로 한 접종계획을 구체화하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문합니다.
코로나 유행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는 데 힘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과 같은 소강기일 때 접종을 하면 다음 유행기간 동안 이 접종의 효과를 가져갈 수 있느냐라는 어려움이 있거든요. 유행기간을 충분히 예측한 다음 접종 드라이브를 강하게 거는 시기를 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또 변이 예측의 어려움 등으로 방역당국의 방침인 접종 정례화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만큼, 30% 초반에 머물러 있는 먹는 약 처방도 더 적극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
[email protected])
#4개월 #동절기_추가접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