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무슨, 암기나 해'…그래놓고 학생 문해력 탓하는 사회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오프닝 : 이광빈 기자]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 함께 보시죠.
[영상구성]
[오프닝 : 이광빈 기자]
한글날을 앞두고 문해력 논란이 크게 일었습니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심심한 사과'라는 표현을 이해하지 못하는 점이 문제시 되면서 문해력 논란이 촉발됐는데요. 신조어와 줄임말 사용이 확산하면서, 한글 파괴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습니다.
먼저 구하림 기자가 실태를 살펴봤습니다.
["사과가 '심심하다'고요?"…후퇴하는 문해력 / 구하림 기자]
지난 8월 한 온라인 카페에 올라온 안내문입니다.
예약 과정에 불편을 끼쳐 심심한 사과 말씀을 드린다는 내용인데, 이 '심심하다'는 말의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듯한 덧글이 달려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 '심심한 사과'를 검색해봤습니다.
"사과가 심심하다는 게 무슨 뜻인가요", "사과를 하려면 정중하게 해야 하지 않느냐"는 게시글도 눈에 띕니다.
젊은 세대가 기존에 두루 사용되는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례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오늘을 뜻하는 '금일'을 금요일로 이해하거나, 3일을 뜻하는 '사흘'을 4일로, '융통성이 부족하다'는 뜻의 '고지식하다'는 지식 수준이 높다는 것인 줄 알았다는 사연도 있습니다.
"이처럼 국어에 대한 이해도는 점점 떨어지는 양상이지만, 각종 줄임말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얼죽아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 같은 유행어는 물론이고, 단박에 이해하기 어려운 줄임말이 10대 사이에서 통용되는 것입니다."
각종 SNS와 유튜브 등 영상매체 사용량은 대폭 늘고 독서량은 급격히 줄어든 탓에, 청소년들 사이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단어는 사장되고 대신 신조어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됐습니다.
"영상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양 자체가 매우, 책에서 사용되는 텍스트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양도 적고, 어휘도 극히 한정돼있고…"
신조어를 통해 또래 사이 소통이 보다 풍부해진다면 창의적 조어 활동으로 볼 수도 있지만, 널리 통용되는 단어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됩니다.
평균 어휘력이 지속적으로 퇴보한다면, 장기적으로는 국가적 위기가 될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옵니다.
"글을 읽어도 짧은 글만 읽기를 좋아하지 긴 글을 읽기를 꺼려하고… 국민들의 전반적 문해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나라 전체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소이거든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발달과는 정반대로 문해력은 오히려 후퇴 위기에 처한 상황… 결코 가볍게 여길 문제가 아니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습니다.
연합뉴스TV 구하림입니다.
[이광빈 기자]
문해력이 떨어지는 현상은 기초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일선 학교 현장의 고민이 큰데요
소재형 기자가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문해력' 저하 논란…교육 현장 '위기감' / 소재형 기자]
"최근 학생들의 문해력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직접 알아보기 위해 한 초등학교에 나와있는데요. 교실로 들어가서 테스트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논란이 됐던 심심한 사과부터 사흘까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다섯 가지 단어를 물어봤습니다.
5개 단어 가운데 가장 적은 수의 학생이 안다고 대답했던 '고지식하다'란 말의 뜻을, 손을 든 학생에게 물어봤습니다.
"지식이 높다?"
이번엔 사흘이란 단어의 뜻을 물어봤더니 절반이 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거 뜻?) 4일?"
단어의 뜻을 아는 학생 자체가 적었고, 스스로 뜻을 안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어감으로 유추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렵다기보다는 조금 헷갈린게 많았던거 같아요. 사흘이 있는데 그게 3일인지, 4일인지 그게 좀 많이 헷갈렸어요."
"다섯 문제가 있었는데 네 문제 빼고 한 개만 딱 알았어요."
일선에 있는 교사들도 최근 학생들의 문해력이 점차 떨어지고 있는 실태를 체감하고 있었습니다.
"아주 쉬운 단어들이라도 "선생님 이거 이해 안 돼요", "선생님 이게 뭐에요" 라고 물어보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아졌고…"
실제 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 결과 국어 과목에서 67%, 수학 과목에서 60%의 교사들이 어린 학생들에게 단어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문해력이 저하되다보니까 기초학력 저하와도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하루 빨리 문해력을 높이는 교육활동들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교육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교육부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국어 수업시간을 종전보다 연간 34시간 더 늘리고, 고등학교에선 매체 의사소통, 문학과 영상 등 과목들을 새로 만들어 미디어 문해력을 높일 계획입니다.
심심한 사과로 촉발된 문해력 논란. 교육부가 마련한 이같은 대책들이 학생들의 문해력을 높이는데 효과를 낼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
[코너 : 이광빈 기자]
광고가 언어 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큽니다. 광고에서 많은 유행어가 만들어졌습니다. 광고를 통해 사회에 잘못된 언어 습관이 형성될 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광고에 사용되는 언어에 대해 사려가 깊어야 하는데요.
그런데, 최근 광고에서 삐뚤어진 언어 사용 현상이 속속 발견됩니다. 특히 광고가 욕설을 팔고 있습니다.
콩고 출신 방송인 조나단의 이름을 활용한 유통업계의 마케팅에 대해 지적이 잇따랐습니다. 흔히 하는 욕설을 연상케 하는 수법인데요. 호텔스컴바인은 조나단을 광고에 출연시키며 '조나 단순한 호텔 찾기'라고 홍보했습니다.
맥심도 조나단을 활용해 욕설을 연상케 하는 마케팅을 했습니다. 맥심은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조나단 슈프림골드 이벤트'를 진행했는데요. 여러 레시피로 만든 커피 명칭을 조나단의 이름을 따서 지었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