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반도체 인력 양성을 사실상 국정 개혁과제 1호로 꺼내 들자 교육부는 다음 달 관련 대책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학과 증설부터 대학 지원과 규제 철폐까지 속도전이 이어지고 있는데, 관련 산업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숫자 맞추기'에만 급급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교육부가 내놓을 인력 양성안은 중소기업과 대기업, 반도체 제조 기업에서 관련 소부장 기업까지, 필요한 모든 수준의 '반도체 인력 양성'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대체 얼마나 어떤 인력이 필요할지 데이터부터 엇갈립니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연간 1,600여 명이,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3천여 명이 부족하다 하고 주요기업의 올해 채용 예정 인원을 고려하면 1만 명 수준에 이른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원하는 인력도 제각각입니다.
중소기업은 고졸과 전문대생이 급하지만 대기업은 석박사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게다가 반도체라고는 해도 설계와 공정, 소재·장비와 차세대 칩 연구 등에서 필요한 인력은 전혀 달라서, 어떤 분야에서 얼마나 인력을 키울지에 대한 검토가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최병욱 / 한밭대 총장 : 사실 반도체라는 게 융합분야이지 않습니까. 전자공학과도 있고요, 관련해서 신소재공학과, 화공과 그다음에 생산관리 프로세스관리 이런 쪽의 전문가들이 다 필요한 건데 그럼 반도체 학과에선 학부에서 이것들을 다 가르칠 것인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반도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고급인력 육성 대책은 더 구멍이 많습니다.
당장 석박사를 가르칠 교수가 부족한데 산학교수로는 한계가 있고, 서울대도 27년 된 장비를 쓸 정도로 연구 환경이 열악하지만 정부 재원은 이제 확보해가야 하는 단계입니다.
민관 공동투자 반도체 고급인력 양성사업
10년간 사업비 : 3,500억 -> 2,180억 (37.8% 삭감) - 민·관 각 50% 부담
[인터뷰: 황 철 성 /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 : 대충 (연간) 110억 정도를 투자한다는 얘기죠. 여기에 문제가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가 반도체 분야 연구비를 너무 투자를 안 합니다. 그러다 보니까 인력을 양성할 수 없는 거예요.]
게다가 수도권 계약학과가 늘어나면 지방대는 무슨 수단을 써도 고사할 거란 위기감이 팽배하고
이제까지 반도체 업계로 ... (중략)
YTN 김현아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6182241541850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