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풍토병으로 남을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의 마이클 라이언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의 말입니다.
코로나19가 에이즈처럼 절대 사라지지 않고 풍토병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경고인데요,
이처럼 코로나19 장기화 전망이 이어지면서 비대면 진료 확대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정세균 / 국무총리(어제) : 일상화된 방역의 시대에서는 감염 예방을 위한 비대면 진료 확대, 원격모니터링 서비스 발굴 등 보건의료대책의 과감한 중심이동이 필요합니다.]
최근 청와대에 이어 정세균 국무총리까지 원격의료 도입 필요성을 언급하며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비대면 진료에 대한 환자 만족도는 높습니다.
코로나19로 병동이 폐쇄됐던 은평성모병원 설문조사를 보면, 전화 진료를 받은 환자 87%가 상태 설명에 문제가 없었고 진료가 만족스러웠다고 밝혔습니다.
대조적으로 의사들은 불만족 의견이 압도적이었습니다.
[김용범 / 기획재정부 제1차관 : 최근 코로나 사태 계기로 한시조치들이 비대면 의료 필요성을 보여준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한시적으로 도입된 시범사업 확대를 위한 인프라 보강, 확대하는 내용이 구상 중이고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은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택트', 즉 '비대면'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그런데 의료계의 반대로 유독 논란이 되는 이유!
대형·유명 병원에 환자가 쏠려 '부익부 빈익빈'을 심하게 만들고, 자칫 의료 시스템이 망가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입니다.
동네 병원 의사가 많은 의료계, 투쟁이라는 단어를 써 가며 반대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과거 민주당은 야당 시절 이런 쏠림 현상과 의료 민영화 가능성을 우려해 원격의료에 반대했었죠,
하지만 그때와 분명히 다른 점은 있습니다.
코로나19 변수, 그리고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을 위한 '공공 보건·의료서비스'라는 영역 제한입니다.
민주당은 원격의료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는 청와대 김연명 사회수석의 발언을 두고, 의료 혜택을 받지 못하는 분들의 사례를 이야기하며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비대면 의료를 언급한 것이지 원격 의료 본격 추진과는 별도 이야기라며 여전히 선을 긋고 있습니다.
쏠림 현상 외에 논란거리도 있습니다.
정보가 부족해 잘못된 진단을 내리면 그 책임은 누가 지느냐는 겁니다.
원격 진료 논의가 불붙은 가운데...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00515125842818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