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D-100] 확정 못한 총선 변수 '선거제'…신당 셈법 복잡
[앵커]
지금 시점에 선거 전략을 어떻게 세우느냐가 총선의 성패를 가를 텐데요.
그런데 게임의 룰인 선거제도는 여전히 안갯속에 있습니다.
특히, 비례대표 배분 방식을 준연동형으로 하느냐, 병립형으로 하느냐에 따라 신당들의 움직임도 달라질 전망입니다.
이다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22대 총선 선거제 개편 논의의 핵심은 비례대표 배분 방식입니다.
국민의힘은 정당 득표율대로 비례대표 의석을 나누는 병립형 재도입을 이미 당론으로 정하고 야당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선거제도라든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무용한 힘겨루기라든가 감정 싸움하지 말고 결정할 게 있으면 저랑 둘이 신속하게 결정하자 이랬습니다."
20대 총선까지 적용된 병립형 비례대표제의 경우 소수 정당이 원내에 진출하는 데 불리한 방식입니다.
이 때문에 지난 21대 총선에선 보다 다양성을 꾀할 수 있는 준연동형 비례제를 시행했습니다.
준연동형 비례제는 지역구 의석수가 정당 득표율보다 적을 때 모자란 의석수의 50%를 비례대표로 채워주는 방식인데, 비례대표용 위성정당 출현이라는 부작용을 낳았습니다.
이를 유지할지, 병립형으로 되돌아갈지를 두고 민주당은 아직 입장을 정하지 못한 채 고심하고 있습니다.
당 지도부는 말을 아끼면서도 병립형 전환을 시사하기도 했는데,
"승부 아닙니까? 이상적인 주장…멋있게 지면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
같은 당 이탄희 의원이 위성정당 방지법을 도입하는 대신 준연동형을 유지할 것을 주장하며 불출마 선언을 하는 등 당내에 이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병립형이냐, 준연동형이냐에 따라 특히 신당들이 갈 길은 달라집니다.
창당 절차를 마무리한 새로운선택과 한국의희망, 실무적으로 창당 준비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진 이준석·이낙연 신당 입장에서는 병립형으로 정해질 경우 국회 입성의 문턱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다현입니다. (
[email protected])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