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대근 앵커
■ 출연 : 성기선 가톨릭대 교수·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의도는 그렇지 않더라도 사교육 학원에 가면 다양한 배경지식이라든가 아니면 관련된 문제를 만들어서 제공하다 보니까 기대는 심리가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그러면 중요한 게 이런 배경지식이나 고차원적인 지식이 필요한 문제가 나온다, 이런 전제가 계속 유지가 된다면 사교육 시장이 계속 활성화될 거다. 그러니까 학생들도 사교육에 계속 의지하게 될 것이다, 이 부분을 우려하면서 이런 문제를 내지 않겠다 이렇게 선언을 한 것으로 보이는 그런 상황인데.
그렇다면 여기서 또 궁금한 게 문제 그러면 어떻게 내야 되는 거지?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변별력이 필요하다는 거잖아요. 그래서 초고난도 문제가 필요하다는 건데 어떻게 해야 된다고 보세요?
◆성기선> 저도 사실 평가원장을 하면서 4번의 수능을 관장했는데 계속 강조를 했습니다. 너무 어렵게 내면 안 되겠다. 초고난도 문항을 좀 줄이자. 줄이면 풍선효과가 일어나는 거죠. 위의 것이 내려오면 그다음 단계에 있는 고난도 문항, 이것의 문항 숫자를 늘릴 수밖에 없습니다. 왜 그러냐면 수능 자체는 상대평가입니다. 그리고 등급 컷이 분명히 있어야 되고 정상분포 곡선에 가깝게 학생들의 정답률이 나와줘야 되거든요. 그렇지 않으면 수능 자체가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 그런 여러 가지가 관련돼 있기 때문에 약속된 수능의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난도 조절은 어쩔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생각하고요. 문항 자체가 지나치게 사전지식이 필요하거나 훈련이 필요하거나 이런 것들은 배제해야 된다는 것은 분명한데 지금까지도 그런 노력들을 해 왔다는 것도 인식을 해 줬으면 좋겠어요.
◇앵커> 그러면 초고난도 문제가 사라지면 고난도 문제가 많아지면서 그런 얘기들 하더라고요. 중위권 학생들이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 이런 우려를 하더라고요.
◆성기선> 그렇습니다. 체감난이도라고 하는 것이 예를 들어 초고난도 문항은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수학의 경우에 주관식이 나오기도 하고 4점짜리가 나오기도 합니다. 그런 초고난도 문항 하나를 풀 수 있느냐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0627092859587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