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함형건 앵커
■ 출연 : 오강섭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특보 - 이태원 참사]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사고 발생 당시 현장의 영상이 SNS 등을 통해 무분별하게 유포되면서 국민적인 트라우마를 남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오강섭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사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이번의 이태원 참사. 지금 부상자들의 치료도 시급합니다마는 현장에 있었던 생존자들이나 아니면 유족들 그리고 여러 가지 관련 영상을 보는 국민들의 놀란 마음, 마음의 상처를 다독이는 것도 굉장히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정부도 한 1000여 명, 유가족과 부상자들을 포함해서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심리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습니다마는 특히 이 과정에서 신경 써야 될 부분이 있을까요?
[오강섭]
우리가 외상 이런 경험을 하게 되면 크게 세 가지를 꼭 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첫 번째는 의사소통의 문제입니다. 그러니까 유가족이나 부상자들 또 현장에 있었던 목격자들 이런 분들이 자신의 심정을 충분히 토로할 수 있는. 이야기하고 답답하고 억울한 심정을 말할 수 있는 의사소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하고 두 번째는 물론 신체적인 부상의 치료는 물론 심리적인 그런 부상에 대한 그런 충격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고요.
또 마지막 세 번째는 사회적인 지지. 우리 사회가 이들을 돕고 잊지 않고 이들을 잘 지켜주고 도울 것이라는. 그래서 세상이 참 안전한 곳이다. 지금 우리가 다 충격을 받은 것은 이게 안전하지 않구나. 나도 저런 일을 당할 수 있구나. 이런 생각이 드는 것이거든요. 그래서 그 세 가지가 꼭 지켜져야 할 것 같습니다.
특히 이번 사고 현장에는 굉장히 어린 나이 10대, 20대 젊은이들이 많았습니다. 현장에서 벗어났다고 하더라도 지인이나 친구들이 눈앞에서 이런 사고를 당하는 모습을 보기도 했고 굉장히 충격을 많이 받았을 것 같은데 젊은층 같은 경우 트라우마를 다독이고 치료하기 위해서 특히 신경을 써야 할 것 같아요. 어떤 점을 생각해야 할까요?
[신경민]
물론 신체적인 부상이 있다고 한다면 치료가 우선이겠습니다마는 일단 그때 놀란 가슴, 놀란 충격을 충분히 말할 수 있게 도와줘야 합니...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1031200349414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