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한 도발 규탄…코로나 인도적 지원은 불변"
[앵커]
미국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강하게 규탄하면서도 코로나 19 대응을 위한 대북 인도적 지원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워싱턴 연결해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이경희 특파원.
[기자]
네. 마크 램버트 미 국무부 한일 담당 부차관보는 브리핑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어제 발사를 포함해 북한은 올해 들어 모두 23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은 모든 국가와 역내 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며 "북한의 반복되는 안보리 결의 위반을 규탄하고 이에 대한 이행을 유지하는 것은 모든 국제 사회의 의무"라고 강조했는데요.
그러나 이번 도발이 북한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등 인도적 지원에 미칠영향에는 선을 그으며 인도적 지원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은 항상 인도적 지원과 한반도 비핵화 문제는 분리해 왔다"면서 "북한이 빠른 백신 확보를 위해 국제 사회와 공조에 나서기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는데요.
또 미국은 북한과 어떤 사안에 있어서도 전제조건 없는 대화에 열려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바이든 행정부는 '한반도의 비핵화'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반면 한국은 미국의 핵우산 무력화 가능성을 우려해 '북한의 비핵화'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양측의 견해차를 반영하는 것이냐는 질문도 나왔는데요.
"너무 나간 이야기"라며 "한미는 확장 억지와 한반도 비핵화라는 전략적 목표에 있어 완전히 보조를 맞추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앵커]
미국 언론에서는 강경해진 바이든 정부의 대북정책이 결국 오바마 정부 시절 '전략적 인내'로의 회귀를 예고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고요?
[기자]
바이든 대통령은 아시아 순방 기간 북한을 향해 전보다 한층 강경해진 메시지를 보냈는데요.
한국의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대북 정책기조의 무게 중심이 대화 보다는 압박으로 옮겨갔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특히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에게 전달할 메시지에 대한 질문에 단 두 마디로 답한 장면을 언급하며 바이든 대통령의 향후 대북 정책을 압축한 장면으로 꼽았습니다.
"우리는 북한의 모든 행동에 준비가 돼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이 하는 모든 것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대응할지 생각해왔고 그래서 걱정하지 않습니다. (한국에 있는 동안 김정은에게 전할 메시지가 있습니까?)'안녕' 끝이예요. 감사합니다."
이 발언은 북한 지도자와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고자 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선명한 대조를 예고한 것으로 해석됐고 이에 대한 북한의 화답이 바이든 대통령 귀국길에 쏘아올린 대륙간탄도미사일을 포함한 3발의 미사일이라는 것입니다.
신문은 바이든 대통령의 대북정책이 오바마 전 대통령 시절인 '전략적 인내'에 가까워졌다는 분석도 내놨습니다.
지난 주 한미 정상이 확인한, 북한에 대해 대화의 문을 열어 놓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서둘러 당근을 제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 오바마 행정부 시절 '전략적 인내'와 유사하다는 건데요.
유엔 제재 등 경제적 압박을 지속하며 북한의 태도변화를 기다린 전략인데, 사실상 북한 문제를 방치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북한이 핵과 미사일 능력을 키웠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 정책입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에 대한 실용적 접근법을 강조하면서 트럼프의 톱다운도, 오바마의 전략적 인내도 아닌 바이든식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고 강조해왔지만 아직 뚜렷한 방향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한미정상회담 #탄도_미사일 #북한_도발 #전략적_인내 #코로나19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