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진 중인 사도광산, 일본은 조선인 강제징용 역사를 쏙 빼놓고 있죠.
그런데 저희 채널에이가 만난 사도 시 주민들은 오히려 착잡해합니다.
“다 망가진 광산이 무슨 유산이냐”, 일본인들이 반문하는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세계를 가다> 김민지 도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세계문화유산 추천을 자랑하는 현수막이 걸렸지만 찾는 관광객은 거의 없습니다.
입구부터 코스가 나뉘고 전체 갱도 400km 중 일부만 공개됩니다.
특히 일본 정부가 유산으로 추진하는 에도시대 광산은 갱도 내 수작업 과정까지 자세히 소개하며 역사박물관까지 길이 이어져있습니다.
또다른 코스인 근대시대 갱도도 찾았습니다.
당시 유산도 아닌 술 보관창고가 버젓이 자리를 차지합니다.
"이곳은 근대시대에 만들어진 사도 광산입니다.
에도시대에 비하면 전시물도 부족하고 조선인 강제노동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습니다."
광산 밖에는 기계와 일부 시설이 덩그러니 놓여있습니다.
조선인 1200명 정도가 살았던 기숙사는 형무소로 바뀌어 있습니다.
대다수 흔적은 사라졌지만 조선인 강제동원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담배배급 문서에 한국식 이름이 보이고 31년 전에는 조선인 강제연행을 반성하는 자리도 있었습니다.
[사도 주민]
"'사도광산은 이런 곳이야', '저런 일이 있었어'라고 들어왔기 때문에 복잡한 마음입니다."
[강동진 / 유네스코 자문기구 이사]
"강제동원 때문에 앞쪽으로 시기를 조정하다 보니까 생기는 유산의 완전성이 혼돈에 빠질 수밖에 없는 거죠."
그래도 일본 정부가 무리하게 등록을 추진하는 이유 중 하나는 지역 경제 살리기.
[하기하라/ 사도 주민]
"(가게들이) 문 닫은 거리가 됐죠. 사도섬 사활을 건 문제니까 세계유산 추진은 정말 필요합니다."
[나가타/ 사도 주민]
"고령화가 멈추는 새로운 경제모델이 될 수 있는 기폭제가 되는 거죠."
퇴임했지만 '상왕'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아베 전 총리 등 우익의 압박도 추진 강행으로 이어졌습니다.
군함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뒤 7년이 지나도 강제징용 희생자 추모 공간 설치 약속은 여전히 지켜지지 않지만 또다른 역사왜곡으로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겠다는 겁니다.
사도광산의 유산 추진을 바라보는 일부 정치인과 주민들은 착잡합니다.
[아라이 마리/사도시 의원]
"(주민들은) 없앨 돈도 없으니까 방치하는 것을 왜 유산이냐고 해요."
노예와 다름 없는 생활과 강제연행의 증거가 남아있지만 눈 감는 일본 정부의 행태에 쓴소리가 이어집니다.
[아라이 마리/사도시 의원]
"문제없는 것만 골라서 전혀 강제 연행이 아니다?
잘못된 방식으로 일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사실입니다."
사도섬에서 채널A 뉴스 김민지입니다.
김민지 도쿄 특파원
영상취재:박용준
영상편집:최창규
김민지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