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기자, 폭발한 코로나 바이러스, 정부 대책으로 틀어막을 수 있을지 서상희 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Q. 서 기자, 하루 7천 명, 남의 나라 이야기인줄만 알았는데, 왜 이렇게 늘어나는 건가요?
지표가 확산세입니다.
확진자 한 사람이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를 보면요.
10월 넷째주 1.06에서 지난주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일상회복 시작 후 전면 등교가 시작되고 사적모임이 많아졌죠.
일상에서의 대면 접촉이 늘어난 겁니다.
겨울철이 되면서 실내활동도 많아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약한 고리를 중심으로 코로나가 급격히 번지고 있습니다.
오늘 나온 신규 확진자 수를 보면 확인할 수 있는데요.
백신 접종 효과가 떨어진 60세 이상 34%이고, 백신 접종률이 낮고 접종 대상이 아닌 19세 이하 19%를 차지합니다.
두 그룹이 확진자의 절반 이상입니다.
Q. 정부가 오늘 대책을 내놨습니다. 뭐가 좀 달라지나요?
재택치료는 확대한다는 방침에는 변함 없습니다.
다만 불편을 줄이겠단 건데요.
집에 재택치료자가 있으면 가족들도 함께 격리가 돼야 했죠.
이 기간이 줄어듭니다.
현행 10일에서 7일로 단축되고, 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면 8일차부터 직장이나 학교에 갈 수 있습니다.
생활 지원비도 늘어났는데, 4인 가구 기준으로 46만 원정도가 추가돼 136만원을 지원합니다.
조건이 있는데요.
추가 지원을 받으려면 확진자가 백신접종을 완료했는데도 감염이 됐거나, 18세 이하여야 합니다.
Q. 저희도 재택치료가 아니라 사실상 방치라는 환자 목소리 전해드린 바 있는데요. 약도 안 온다고요. 그래서 관리 인력을 늘린다고요?
네. 하지만 현장 반응은 부정적입니다.
구청 재택치료 담당자에게 전화해보니 "행정 인력이 한정돼 있어서, 늘려도 확진자를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반응입니다.
재택치료 협력병원도 과부하입니다.
서울의 한 재택치료 협력병원 사례를 볼까요.
150명의 환자를 간호사 2명씩 3교대로 모니터링하는데요.
간호사 1명이 하루에 70통씩 모니터링 전화를 돌리는 상황입니다.
간호 인력을 더 뽑으려해도 인력 구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Q. 그래서 나온 게 동네병원도 재택치료를 할 수 있게 하겠다는 건데요. 그럼 어떻게 달라지는 건가요?
재택치료를 할때, 내 건강 확인을 누가 하냐가 달라집니다.
지금은 보건소와 병원급 위주의 협력 병원에서 담당하는데요. 이걸 동네 의원으로 확대하자는 겁니다.
예를 들어 지역 내 동네의원 의사들이 하나의 TF팀처럼 협의체를 만들어서 재택치료 환자를 모니터링을 하고 의사 한 명당 환자 수를 제한하자는 거죠.
아직 제안 정도고, 구체적인 내용은 조율이 필요한데요.
재택치료를 의원급에서 할 수는 있지만, 위급한 상황 재택치료 환자들이 갈 수 있는 '병상'이 있어야 하는 게 이번 사태의 핵심입니다.
Q. 사실 오미크론도 숨은 복병인데, 이게 지금 PCR 검사로는 안 나오는 스텔스 오미크론이라는 보도가 있던데요.
영국 가디언지의 보도인데, PCR 검사에서 다른 변이와 잘 구분이 되지 않는 오미크론 변이가 발견이 됐다는 내용입니다.
사실 지금 오미크론 변이 자체도 정확하게 오미크론인지는 PCR 검사로는 알 수 없습니다.
유전체 분석이 필요한데요.
일부 특징을 통해 PCR단계에서 '추정'할 수 있는데 이 추정이 어려워지면 대응이 늦어질 수 있단 우려인 거죠.
하지만 해외에서 사용되는 키트가 국내와 다르고. 국내에도 어떤 영향이 있을지는 좀더 지켜봐야 합니다.
전문가들은 결국 오미크론 변이를 직접 추출할 수 있는 진단키트가 없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라며, 빠른 개발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