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이 그제 저녁 군 철책선을 뚫고 내려와 어제 우리 군이 14시간 만에 신병을 확보했습니다.
당시 철저하다던 과학화 경계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는데, 2천억 원 넘는 예산을 들인 시스템이 고장이 잦아 보완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더 자세한 이야기, 이 사건 취재한 기자 통해 들어보겠습니다. 이승윤 기자!
먼저 이번 사건의 경위부터 살펴볼까요?
[기자]
군은 북한 남성이 지난 2일 밤 DMZ 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2차례 TOD (열상감시장비)에 포착돼 수색 작전을 펼쳤으나 발견하지 못했고, 이 남성이 계속 남하해 그제 저녁 7시 25분쯤 강원 동부 지역 전방에서 철책선을 넘었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군은 강원도 동부 전선에 대침투 경계 '진돗개'를 격상한 뒤 수색 작전을 벌여 GOP 남쪽 1.5km 민간인 통제선 안에서 신병을 확보했습니다.
군 당국은 민간인으로 확인된 이 남성이 귀순 의사를 밝혀 관계기관과 공동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지역은 과학화 경계 시스템을 갖춘 곳으로 '광망'이라고 불리는 철책의 센서가 작동하지 않아 군은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합동참모본부는 해당 부대의 작전상황과 감시장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전비태세검열단을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부대는 이른바 노크 귀순이 있던 지난 2012년에도 사단장과 연대장 등이 줄줄이 보직 해임됐는데, 검열단 조사 결과에서 문제점이 식별되면 문책이 뒤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철책 넘는 것을 보고도 신병을 바로 확보하지 못했고, 과학화 경계 시스템도 뚫렸다는 점이죠?
[기자]
북한 남성이 GOP 철책을 넘는 장면을 우리 군이 CCTV를 통해 봤지만 10여 시간이 지나 GOP 남쪽 1.5km 지점에서 신병을 확보했습니다.
군 당국은 해당 지역의 산세나 지형 때문에 감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해명했는데, 궁색한 해명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더 큰 문제는 초병의 경계임무를 보완하는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고장이 심각하다는 겁니다.
과학화 경계 시스템은 군이 장병 감소에 대비하고 대북 감시를 강화할 목적으로 지난해까지 2,427억 원을 들여 구축했는데요,
2016년 국방백서엔 적은 병력으로 넓은 지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잦은 고장과 오작동으로 최전방 지역의 감시 공백을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이 문제를 지적했던 국회 국방위...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01105131710304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