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워치] 김정은, 대남군사행동 결정 보류…숨고르기 의도?

연합뉴스TV 2020-06-24

Views 0

[이슈워치] 김정은, 대남군사행동 결정 보류…숨고르기 의도?


[앵커]

한반도 정세가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습니다.

대남 압박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던 북한이 김정은 위원장의 결정으로 대남 군사행동을 전격 보류했는데요.

당장 숨 고르기 국면으로 들어가는 듯 보이는데요.

서혜림 기자와 함께 구체적인 남북관계 상황 짚어보겠습니다.

서 기자, 북한의 군사행동 보류 보도가 나온 시점이 오늘 새벽이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조선중앙통신 보도였는데요. 통신은 김정은 위원장 주재로 어제(23일) 노동당 중앙군사위 예비회의를 열고, 대남 군사행동계획을 보류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북한의 보도, 직접 보시겠습니다.

"예비회의에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성된 최근정세를 평가하고 조선인민군 총참모부가 당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5차 회의에 제기한 대남군사행동계획들을 보류하였습니다."

앞서 북한이 예고한 행동계획은 크게 네 가지였죠. 금강산과 개성공단에 군대를 다시 배치하고, 비무장지대 초소에 진출하겠단 내용. 그리고 접경지역에서 군사 훈련을 하고, 대남 전단 살포를 위한 군사적 지원을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실제 대남 전단 살포의 경우, 거의 준비가 다 됐다며 대대적으로 선전전을 펴기도 했는데요. 이런 도발행위 계획을 보류하겠다고 선언한 겁니다.

[앵커]

후속조치들도 즉각 이뤄지고 있다고요.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결정한 내용인 만큼, 북한이 기민하게 움직이는 것 같습니다.

[기자]

네, 그렇습니다. 오늘(24일) 북측 최전방 지역에서 관련 움직임이 포착됐습니다. 북한이 대남 확성기 시설 일부를 도로 철거하는 모습을 우리 군 당국이 확인한 건데요. 사흘 전이죠. 지난 21일 북한이 4·27 판문점선언 이행 차원에서 없앴던 대남 확성기를 다시 설치하면서, 판문점선언도 과거의 합의들처럼 휴지조각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는데, 북한이 확성기 시설을 다시 철거해간 겁니다. 나아가 북한은 선전매체에 실었던 대북전단 살포 비난 기사도 대거 삭제했습니다. '조선의 오늘', '통일의 메아리', '메아리' 등 선전매체가 오늘 새벽 보도한 대남 비난 기사 10여건이 반나절도 안 돼 모두 사라진 겁니다. 또한 보복용으로 대남 전단을 살포하겠다고 위협하는 내용도 지운 것을 보면, 대남전단 살포 역시 당장 실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이런 일련의 조치들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한숨 돌렸다고는 하지만, 워낙 상황이 예측 불가능하지 않습니까.

[기자]

네, 그렇습니다. 정부는 신중한 태도로 상황을 주시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우선 통일부에서 평가를 내놨는데요. 통일부는 "관련 보도를 면밀하고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고,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언급한 뒤, 남북 간 합의는 지켜져야 한다는 점, 대북전단 살포 등 긴장조성 행위에 대해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다시 강조했습니다.

국방부의 경우, 이번 보류 결정이 군사적 긴장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며, 철저한 감시태세를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측이 9·19 군사합의를 지켜야 한다고도 강조했습니다. 다만 청와대는 오늘 오후까지도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상황이 가변적인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단 뜻으로 읽힙니다.

[앵커]

실제 북한의 지난 20일간의 행보를 보면, 대남 압박 수위를 끌어 올리는 방향 아니었습니까. 그간의 상황 간단히 정리해주실까요.

[기자]

네. 말씀하신 대로, 지난 4일부터 오늘 직전의 상황까지 보면 북한의 행동은 점점 더 거칠어졌습니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대남 비난 담화 이후, 북한은 남측을 적으로 규정하며 대적사업의 시행을 예고한 바 있는데요. 그리고 실제 지난 9일에는 남북 간 모든 통신연락선을 차단했고, 16일에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습니다. 이어 지난 17일에는 김여정 부부장이 문재인 대통령의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 기념 연설을 정면 겨냥해 '철면피한 궤변'이라고 말 폭탄을 쏟아내기도 했습니다. 말을 아끼던 정부가 강하게 맞대응한 것도 이 시점입니다. 청와대는 "취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매우 무례한 어조로 폄훼한 것은 몰상식한 행위"라며 "이런 사리 분별 못하는 언행을 감내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북한이 태도를 바꿔, 군사행동계획을 보류한 이유는 뭘까요. 큰 틀의 전략 안에 있는 행동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일단 김정은-김여정 남매의 역할분담에 주목하는 분석이 많습니다. 아시다시피 그동안 남측을 비난하고, 압박하고, 도발을 예고한 사람은 김여정 부부장이었죠. 이 국면에서 김 위원장도 지난 7일 정치국회의에 등장했지만, 대남 비난 메시지는 없었습니다. 이를 두고 일부 전문가들은 일련의 흐름이 두 사람의 역할분담에 기반한 치밀한 시나리오가 아니었냐고 추측했습니다. 2인자인 김여정 부부장의 권력을 부각하는 동시에, 김정은 위원장이 결국 상황을 정리하며 최고 존엄의 위치를 과시했다는 겁니다. 나아가 내부적으로 주민을 결속시키고, 외부적으론 남측 흔들기로 세계 이목을 다시 집중시키면서 판을 흔드는 소기의 성과를 거뒀단 판단으로 숨 고르기 국면으로 전환한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앵커]

그렇다면 앞으로의 상황,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요.

[기자]

예, 일단 대남 군사행동 계획 보류를 결정한 회의가 예비회의란 점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예비회의는 김정은 집권 이후 처음으로 공개된 형식의 회의인데요. 계획 보류를 위해 예비회의 절차를 만든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그렇게 본다면, 그동안 대남 압박 공세를 이어왔던 북한이 확실히 긴장 수위를 낮추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다만 아직 중앙 군사위 본회의가 열리지 않은만큼, 본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최종적으로 어떤 결정을 내릴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지금까지 서혜림 기자와 한반도 정세 짚어봤습니다. 고맙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