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연 : 김지선 기자, 왕선택 기자
2차 북미 정상회담 소식 이어갑니다. 앞서 김정은 위원장이 탄 특별열차가 중국의 마지막 역을 지나 베트남으로 향했다는 속보 전해 드렸는데요.
전 세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하노이에 YTN 현장 스튜디오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김지선 기자!
[김지선]
하노이입니다. 사흘 전에 출발한 김정은 위원장, 이제 곧 도착합니다. 지금 김정은 위원장이 도착할 동당역 현장은 비상입니다.
전 세계 취재진이 또 한 번 국제 사회 앞에 나선 김 위원장을 보러 이곳으로 갔습니다. 왕선택 통일외교전문기자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 위원장이 과연 취재진 앞에 모습을 드러낼까요?
[왕선택]
그럴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국경을 잠시 후면 지나갈 것 같고요. 서울 시각으로 9시에서 10시 사이에 베트남 최북단역인 동당역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서울 시각 기준으로 해서 10시 30분에 약식 환영식 행사가 있을 것 같은데 이 행사에서 취재진 앞에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이 되고요.
다만 근접 취재는 북한과 베트남에 지정 받은 언론사만 허용하지 않을까 생각되고. 나머지 언론사들은 조금 더 거리를 두고 취재를 하지 않을까, 이런 예상을 해 보고 있습니다.
[김지선]
장장 60시간이 넘는 대장정입니다. 젊다 하지만 피로가 많이 쌓였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동선 하나하나가 메시지인 만큼 오는 길에도 어딘가 들러서 일정을 소화하지 않을까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마침 동당역에서 하노이까지 오는 길에는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북한군들의 묘지가 있습니다.
조금 더 내려오면 김창선 노동당 부장이 점검했던 삼성전자 공장이 있는 공단도 있습니다. 오늘 예상 동선이 어떻게 될까요?
[왕선택]
아직까지 확인된 일정은 없습니다. 그래서 다만 추측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말씀하신 것처럼 동당역에서 하노이까지 170km 구간인데 그 사이에 방문이 가능한 두 가지 장소가 있다는 것이죠.
박장성에 있는 북한군 묘소가 가장 먼저 고려대상이 될 텐데. 갈 가능성도 있지만 가지 않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 묘지라고 하는 것이 1967년과 68년도에 파견이 됐던 북한군 그 당시 100명에서 200명 정도가 파견이 됐다라고 이렇게 연구가 되고 있고요.
대부분 공군 조종사였습니다. 그 중에서 14명이 전사를 했기 때문...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0226083018389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