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공동실무단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 레이더에서 나�" /> 한미 공동실무단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 레이더에서 나�"/>

"전자파 논란 고려해 성주 고지대 배치" / YTN (Yes! Top News)

YTN news 2017-11-14

Views 1

[앵커]
한미 공동실무단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 레이더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사람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경북 성주의 고지대에 사드를 배치하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레이더 바깥 100m부터는 생활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는 안전지대라는 게 군 당국 설명인데요.

김준영 기자가 그 이유를 정리했습니다.

[기자]
사드 레이더는 순수 탐지 목적인 전진 배치 모드일 경우 최대 2,000㎞를, 미사일 요격 기능을 동반하는 종말 모드일 땐 800㎞를 탐지할 정도로 고성능입니다.

그만큼 인체에 유해한 강력한 전자파를 뿜어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군 당국은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합니다.

사드 레이더는 지면에서 5도 이상 하늘로 빔을 발사해야 북한 미사일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레이더로부터 전방 100m까지는 전자파의 직접 영향권이어서 아무도 들어갈 수 없습니다.

또 상공 2.4㎞까지는 모든 항공기의 운항이, 5.5㎞까지는 무기를 장착한 전투기의 비행이 금지됩니다.

2.4㎞ 전방에서 전자파 영향을 받는 건 210m 상공이고, 3.6㎞에선 315m 상공, 5.5㎞에선 483m 위입니다.

63빌딩 높이가 249m인 점을 고려하면 100m 바깥에서 사람은 전자파를 접촉할 수 없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입니다.

아울러 사드 레이더의 발사각이 전방 120도여서 나머지 240도 지역은 전혀 영향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국내에서 운용 중인 탐지 거리 500㎞의 그린 파인 레이더는 물론, 장병들이 생활하는 이지스함의 1,000㎞짜리 SPY-1 레이더로 인한 병리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는 데 전문가 의견이 일치합니다.

[문성묵 /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 국내에도 주요 고지마다 (공군) 레이더 사이트가 있지만, 그동안 (공군에) 복무했던 수많은 제대군인 중에, 또 현역 중에서 (피해를 보았다는) 피해 사례는 전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군 당국은 이미 미군이 사드를 운용하면서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해성 평가도 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민구 / 국방부 장관 (어제) : 미군이 이것(사드)을 운용하면서 2차례에 걸쳐 환경영향평가서를 낸 게 있고, 그걸 통해서 저희가 확인했습니다.]

이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군 당국은 고지대에 사드를 배치하기로 결론을 내렸습니다.

국방부는 항간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2013년부터 운용 중인 태평양 미군 괌 기지의 ...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60713130202539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