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상연결 :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 /> ■ 화상연결 :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

"치사율 더 높다"...고령 운전자 사고 원인은? [Y녹취록] / YTN

YTN news 2024-03-19

Views 41

■ 진행 : 안보라 앵커
■ 화상연결 :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 지금 65세 이상부터 고령 운전자로 분류가 된다고 하셨는데 65세 이상부터 연령대가 굉장히 다양하잖아요. 그렇다면 합리적인 추론일지 모르겠습니다. 운전자의 나이가 많으면 많을수록 교통사고 발생률이나 혹은 위험도에서도 영향을 미칩니까?

◆김필수 > 그렇습니다. 실제로 위험도 분석을 해보게 되면 65세 이상에서 5살 기준으로 해서 올라가게 되면 점차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65세까지만 하더라도 괜찮습니다. 또 70세까지만 해도 사고 위험도가 그렇게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70세 이상에서 많이 높아져서 75세 이상. 아까 말씀드린 대로 65세 이상이 고령 운전자라고 했지만 75세 이상을 별도로 분류하는 나라들도 많다고 말씀드렸는데 75세부터는 사고 위험도가 워낙 급증하고 있다라는 것. 이 부분들이 실제로 접촉사고가 발생을 하면 부상자나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구나. 그만큼 사고의 부상자, 사망 건수가 늘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어서 연세가 늘어날수록 더더욱 위험하다는 것. 75세 이상은 더더욱 위험지수가 높아진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앵커 > 고령 운전자가 낸 사고의 경우에는 치사율도 더 높다고 하는데 실제로도 그렇습니까?

◆김필수 > 그렇습니다. 치사율도 많이 높아집니다. 사고가 발생한 빈도에 비해서 사고율을 보게 되면 훨씬 더 많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거든요. 그런 측면에서 보게 되면 아까도 말씀드렸지만 고령 운전자 사고를 보면 중상 이상도 상당히 많고요. 또 사망자 수도. 특히 왜 이런 말씀을 드리냐면 기기 조작이나 판단 능력이 떨어진다고 말씀드렸는데 일반적으로 정상적으로 운전할 때는 차가 부닥칠 때 제동을 한다든지 핸들을 꺾어서 최소한 부상을 면하기 위한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있지만 고령 운전자 같은 경우에는 이런 능력, 판단 능력 같은 게 떨어지고요. 또 제동 능력도 시간적으로 늦어지다 보니까 실질적으로 충돌 강도가 강하고, 또 그럼으로 인해서 사상자, 특히 사망자 수가 늘어나는 것이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의 특성이라고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34_20240319104557730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Share This Video


Download

  
Report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