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면서 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 GP를 복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에 대응해 우리 군도 GP를 복원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전방 지역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최근 복원 문제로 북한과 대치 중인 비무장지대 내 감시초소, GP는 분단 선인 군사분계선으로부터 2㎞ 반경 안에 있습니다.
정전협정에 따라 원칙적으로 중화기 반입이 안 되지만 북측은 박격포와 14.5㎜ 고사총 등을, 우리도 이에 대응해 유엔군사령부의 허가를 받아 K-3 기관총 등을 배치하고 있어 우발적 충돌 우려도 큰 곳입니다.
남북은 이 같은 군사적 긴장을 해소하자며 지난 2018년 9·19 군사합의를 통해 우선 감시초소 10곳은 파괴하고, 1곳은 원형만 남긴 채 병력을 철수했습니다.
그러자 남북의 GP 불균형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당시 초소는 북측이 160여 개, 우리 측이 60여 개를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똑같이 11개를 줄이면 우리 측의 감시정찰 측면에서 전력 약화가 더 크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신종우 /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 : GP 시설이나 감시 장비 능력 측면에서 북한보다 월등히 앞선 시설이거든요. 그런 차원에서 본다면 동일한 비율로 줄이는 건 잘못된 합의였다고 생각되고요.]
반면 우리 군의 경우 비무장지대 바깥 남방한계선을 지키는 GOP 라인에 삼중 철책과 과학화 경계시스템을 갖춘 병력이 배치된 만큼 북한과 GP 개수를 단순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는 반박도 제기됐습니다.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 : 우리 군은 GP 후방 남방한계선 일대에 이중·삼중의 철조망과 CCTV 같은 과학화된 경계시스템을 갖춘 다수의 GOP 부대가 운용 중이고….]
그런데 최근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이후 남북 합의로 파괴하거나 철수한 GP가 복원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측이 파괴된 GP에 목재 감시소를 세우고 병력과 중화기를 투입하는 정황이 포착되면서,
우리도 원형이 보존된 강원 고성 GP부터 활용하고 나머지 GP는 단계적으로 복원하는 방안이 검토되는 겁니다.
[전하규 / 국방부 대변인 (지난 30일) : 문화재청의 승인을 어느 부분까지 받아야 되는지 이런 것들에 대한 실무적인 논의가 있었던 것이고, 안전진단도 해야 될 사안이라고 생각하고….]
비무장지대의 군사적 ... (중략)
YTN 최민기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1203053440397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