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올해 초 코로나 봉쇄를 해제하고 경제활동을 정상화하고 있지만 우리 산업계가 기대했던 '리오프닝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중국산 제품의 자급률이 높아지고, 수출 기지로서 역할이 축소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요.
이제는 수출 지역과 품목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
[기자]
대표적 소비재인 화장품은 불과 2년 전만 해도 대중국 수출의 효자상품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수출액이 전년 대비 -34%를 기록한 이후 올해 1, 2월에 27%가 더 떨어졌습니다.
감소 폭이 경쟁국인 프랑스와 일본에 비해 2~3배나 큽니다.
[장상식 /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 : 중국의 양극화 문제도 있는 것 같아요. 프랑스나 일본 것(화장품)은 명품은 또 많이 수입하거든요. 중산층이나 나머지 분들은 자국산을 많이 쓰는 것 같고요.]
반도체는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던 중국에 대한 우리의 최대 수출 품목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수출액이 전년 대비 -22%를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크게 줄다 지난달엔 -50%까지 떨어졌습니다.
미 중 갈등 속에 중국의 반도체 자급률은 올라가고, 기업들은 잇따라 중국에서 생산시설을 철수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국내에서 가져가던 소재나 부품, 이런 부분들이, 대중 수출이 자동적으로 줄어드는 그런 상황들이라서 구조적으로 대중 수출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그런 형태로 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수출 품목과 대상국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 조사 결과 우리나라는 세계 10대 수출국 가운데 특정 품목 의존도가 가장 높고, 수출 국가 의존도는 캐나다에 이어 두 번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품목은 반도체와 자동차가 전체의 30%를 차지했고, 수출 대상은 중국과 미국에 40%가 집중됐습니다.
[이상호 /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정책팀장 : 분산이 돼 있으면 헤지가 가능한데 이들 두 나라(중국, 미국) 집중돼 있다 보니 두 나라의 경기 상황에 민감도가 심화될 수밖에 없거든요. 다른 나라에 비해서]
미 중 무역 분쟁 속에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중국에 중간재를 수출해 막대한 무역 흑자를 내던 호시절이 막을 내리고 있다는 평가가 ... (중략)
YTN 박홍구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30408052502433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