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오는 2030년까지 시세의 75~85% 수준까지 낮춘 청년안심주택 12만 호를 공급합니다.
대상지는 역세권뿐 아니라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간선도로변까지 확대합니다.
김종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하철역에서 나오면 곧바로 보이는 '역세권 청년주택'입니다.
29층 꼭대기 라운지와 작은 도서관, 피트니스 센터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만 19세에서 39세 청년이 대상입니다.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로 최장 10년까지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에겐 월세와 관리비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를 반영해 서울시는 '청년안심주택'으로 이름을 바꾼 개선안을 내놨습니다.
우선 임대료를 주변 시세의 75~85% 수준으로 10%p 더 내립니다.
주차장 개방 등을 통해 관리비도 10%p 정도 낮춥니다.
또 사업 대상지를 역세권에 국한하지 않고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간선도로변까지 확장합니다.
[한병용 / 서울시 주택정책실장 : 현재 역세권 350m 이내에 사업을 하도록 진행하고 있지만 이걸 역세권 내에 250m 내외로 조정을 하고 간선도로변 50m 내외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아울러 1인 가구 최소 주거 면적을 20㎡에서 23㎡로 넓힙니다.
가구와 마감 자재도 고급화합니다.
서울시는 빠르게 늘고 있는 청년안심주택에 대한 수요에 맞춰 오는 2030년까지 총 12만 호를 공급할 계획입니다.
YTN 김종균입니다.
YTN 김종균 (
[email protected])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15_20230404183519328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