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발달장애인 부모들이 삭발과 단식농성까지 하며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보장을 요구했는데요.
최근 발달장애인들의 취업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지만, 대부분 공공기관이나 복지재단이 주도하는 사업이라 민간기업 참여가 절실하다고 합니다.
정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경기도 광명시에서 복지시설이 운영하는 유기동물 보호소.
강아지와 고양이 7마리를 먹이고, 보호소를 쓸고 닦는 일은 발달장애인 7명이 도맡아 합니다.
"맛있게 먹어!"
지각 한번 없이 매일 정성껏 동물을 보살피는 발달장애인들.
[서현아 / 경기도 광명 유기동물 보호소 근무 : 청소기 밀고 바닥 닦고 설거지하고 닦아서 물도 갈아주고, 고양이랑 강아지들 밥도 주고….]
복지시설 입장에서도 애착을 갖고 모든 일을 척척 해내는 직원들이 고맙습니다.
[김소율 / 경기도 광명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사무국장 : 유기동물 쉼터를 운영하면서 성취감도 느끼고, 단순작업보다 더 많은 감정을 느끼고 목표를 세우지 않을까 싶습니다.]
IT 기술로 온도나 습도를 관리하는 복지재단의 스마트 온실에서도 발달장애인 38명이 정직원으로 일합니다.
토마토를 재배하는 곳인데요, 가지 치고 수확하는 일을 발달장애인 13명이 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환경이 농사에 최적화돼있어 어렵지 않고 농작물을 수확하면서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 직업 만족도가 높습니다.
[김진섭/ 경기도 여주 스마트 온실 근무 : 직장 다니기 전에 매일 부모님 속썩였는데, 첫 직장 다니니까 부모님이 행복해 하시는 것 같아요.]
이처럼 발달장애인이 일하지 않던 분야에 새롭게 진출하는 사례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공공기관이나 복지재단 사업이라는 점이 한계로 꼽힙니다.
일자리 확대와 고용률 증가 등 전반적인 고용 환경개선으로 이어지려면 민간 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발달장애인의 고용률은 전체 장애인 평균보다도 낮은 수준인데 이마저도 절반 가까이는 민간 기업이 책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1년 동안 민간 기업의 일자리 증가율은 공공 부문의 절반에도 못 미쳤습니다.
[윤종술 / 장애인부모연대회장 : 공공에서의 복지 일자리는 1년이나 2년 하면 집으로 다 돌아갑니다. 무기계약을 하는 근로를 시키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1년, 2년이면 고용 연장 계약... (중략)
YTN 정현우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522052349389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