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영유아들의 언어 발달 치료 수요가 급증하면서 보험료 청구가 크게 늘어나자 보험사들이 관련 심사를 대폭 강화했습니다.
보험사들은 과잉진료가 의심돼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보험료 지급을 회피하기 위한 꼼수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습니다.
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두 아들을 키우는 30대 아빠 장 모 씨는 올해로 6살인 첫째 아들과 4년째 언어 치료 수업을 다니고 있습니다.
또래보다 2년 정도 말이 느렸던 아들은 꾸준히 수업을 들으면서 상태가 눈에 띄게 호전됐습니다.
[장 모 씨 / 언어발달지연 아동 아버지 : (치료를 받고) 시간이 지나니까 1년 정도 뒤처진다는 판단을 받았고요.]
3백만 원에 달하는 한 달 치료비는 아들이 태어날 당시 들어둔 태아보험으로 해결해왔지만,
올해부터는 의료 자문에 동의하지 않으면 보상이 어렵다는 통보와 함께 3개월치 보험료 지급도 미뤄졌습니다.
[장 모 씨 / 언어발달지연 아동 아버지 : 어떤 근거로 하는지 물어봤을 때 명확히 답변을 해주지 않더라고요. 섣불리 심사를 받았을 때, 보험금 지급이 어려운 F 코드를 받게 되면 그걸로 끝이거든요.]
'의료 자문'은 보험사가 보험료 청구가 적정한지 판단하기 위해 전문의 소견을 묻는 절차입니다.
보험사가 지정한 병원 전문의가 진료 기록 등을 보고 환자 상태를 판단하는데 행동 장애 소견이 나오면 치료가 어렵다고 보고 관련 비용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보험사 측은 코로나19로 언어 발달 치료 수요가 늘어나면서 일부 병원에서 과잉 진료를 받은 뒤 보험료를 청구하는 경우가 있어 심사 기준을 강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지난 2019년 2만 천여 건이었던 보험금 지급 건수는 지난해 4만6천여 건으로 2배 넘게 늘었습니다.
[백태현 / 현대해상 장기실손관리과 수석 : 코로나 시국을 악용해서 의료기관과 브로커가 불법적으로 결탁해서 발달치료센터를 차려줍니다. 실손 보험료를 청구할 수 있는 진단명을 악용해서 (언어와 관련 없는) 각종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험 가입자들은 전문의가 직접 아이를 보지 않은 채 서류만으로 언어 장애를 판단하는 건 믿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의료 자문 제도는 보험사가 보험료 지급을 회피하기 위해 악용되는 수단일 뿐이라는 겁니다.
[강수정 / 언어발달 지연 아동 어머니 : 아이들의 상... (중략)
YTN 윤해리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03192218214379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