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전국적인 KT 통신망 불통 사태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KT의 보상액이 턱없이 적다며 제대로 된 보상을 촉구했습니다.
자영업자들은 당시 매출이 절반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는데도 KT가 제시한 보상은 고작 육칠천 원 수준에 불과하다며 정부가 직접 나서서 피해를 조사하라고 촉구했습니다.
홍민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청진동의 한 음식점.
낮 11시가 넘으면서, 직장인 손님들이 가게를 가득 채웁니다.
하지만 지난달 25일 점심엔 갑자기 KT 통신망이 끊기면서 영업을 크게 망쳤습니다.
일주일 전 한 시간에 110만 원을 기록했던 매출은 당시 78만 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식당 직원 : 한참 동안 손님 못 받았죠. 현금 갖고 계신 분만 받았어요.]
하지만 KT 측이 제시한 보상액은 고작 7천 원 정도.
현장에선 당장 한숨이 나옵니다.
[식당 직원 : (그 정도면 어떠세요?) 엄청 적은 것 같아요.]
앞서 KT는 서비스 장애를 겪은 이용자들에게 다음 달 요금을 감면해 주는 방식으로 보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체로 보면 4백억 원 규모지만, 피해를 겪은 3천5백만 명으로 나누면 개인 천 원, 소상공인은 육칠천 원 정도입니다.
실제 손실과 비교해 보상금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빗발치자 카페와 편의점 사장 등 소상공인단체가 나섰습니다.
KT가 정확한 피해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민단체와 함께 조사한 피해 집계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범석 /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통신분과장 : (일례로 보면) 그 당시 66만 원이나 52만 원 (판매)하던 업체들이 평균 25만 원 상당으로 되면서 많은 차이가 발생했습니다.]
불통 당일 낮 11시부터 1시까지 전국 자영업자 86곳의 매출 기록은 평균 25만 원 정도.
사고 일주일 전과 비교하면 63% 줄었고, 사고 다음 날과 비교해도 5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은 88%, 스포츠 등 서비스업도 78% 가까이 매출이 폭락했습니다.
소상공인들은 KT의 보상안이 실제 피해를 전혀 보상해 주지 못한다며, 정부가 직접 피해 규모를 조사해 보상액을 산정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안진걸 / 민생경제연구소장 : 이런 상황에서 몇백 원 보상, 몇천 원 보상이 제대로 된 보상이나 위로, 그리고 재발 방지에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입... (중략)
YTN 홍민기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11116222142887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