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늘부터 대대적인 6·25 전사자 유해 발굴 사업을 시작합니다.
벌써 20년 가까이 꾸준히 진행된 사업인데요.
그런데 유해가 발굴되더라도 정작 신원이 확인돼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경우는 1.3%에 불과합니다.
현재 사용하는 DNA 분석 기법의 한계 때문입니다.
이승윤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6·25 전쟁 당시 치열한 격전지였던 강원도 양구에서 발굴된 고 한병구 일병의 유해.
남동생의 DNA를 이용해 신원이 확인되면서 68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한 일병처럼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그야말로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지난 2000년 이후 국방부가 발굴한 국군 전사자의 유해는 만2백여 구, 이 가운데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경우는 불과 132구, 전체의 1.3%에 불과합니다.
이유는 DNA 분석의 한계 때문입니다.
국방부는 STR이라는 기법을 이용해 발굴된 유해와 유가족 4만5천여 명의 DNA를 대조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STR 기법은 DNA가 훼손됐을 경우, 정확도가 크게 떨어집니다.
부모, 형제를 넘어 삼촌 관계로만 멀어져도 유가족을 찾아낼 수 있는 확률이 1/3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인종 구분의 정확성도 많이 떨어집니다.
이 때문에 STR 대신 SNP라는 새로운 분석 방법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숭덕 / 서울대 법의학연구소 교수 : 크게 질이 안 좋은 시료에서 검사 결과를 잘 얻을 수 있고, 먼 유전자 인척 관계에서도 우리가 유전자 비교가 쉽게 될 수가 있고….]
실제로 서울대 의대 법의학교실 연구팀이 SNP 검사를 활용한 제주 4·3 항쟁 희생자 유해의 경우에 STR 기술로 신원을 확인하지 못했던 329구 중 49명, 15%의 신원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중공군과 UN군도 많이 전사한 화살머리고지 유해 발굴 사업을 앞두고 SNP 분석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SNP 기법의 가장 큰 단점은 최소 2배 이상 비싼 검사 비용.
[장유량 /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중앙감식센터장 : (SNP 등) 새로운 유전자 방법도 학계에 있는 전문가분들과 같이 논의를 또 진행하고 있는 중입니다.]
고령으로 별세하는 유가족이 늘면서 전사자 신원 확인 작업이 시간과의 싸움으로 접어든 만큼, 적극적인 정책 전환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YTN 이승윤[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90318155922897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