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네스코가 내년 봄에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지 여부를 심사할 예정인데요.
그런데 일본이 위안부 자료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지 못하도록 심사 과정에 참가하겠다며 유네스코에 제도개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도쿄에서 최명신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저지하기 위해 총력전을 펴고 있는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에 제도 개혁을 요구했습니다.
NHK는 유네스코 일본위원회가 지난달 30일 세계기록유산 심사의 투명성과 공평성 확보를 위한 의견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고 전했습니다.
의견서에는 세계기록유산 등록 심사를 할 때 회원국 대표가 참가하는 '정부간위원회를' 새로 만들어 등록신청 여부를 결정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위안부 자료의 등재 심사 과정에 일본이 직접 참가해 등재를 막겠다는 속셈입니다.
의견서는 또 심사와 등재 권고 여부를 결정하는 국제자문위원회의 위원 선출 방식이 투명하지 않다며 선출 방법을 바꿀 것도 제안했습니다.
현재 일본인이 포함돼 있지 않은 국제자문위원회 위원 14명에 일본인을 집어넣겠다는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의견서는 또 일단 등록된 자료에 대해서도 적절히 보관되고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해 일정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기록유산 지정을 취소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지난해 10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난징대학살 관련 자료나 혹시 모를 위안부 자료의 등재에 대비해 관리 상태를 빌미 삼아 기록유산 지정 취소를 추진하겠다는 의도입니다.
[기시다 후미오 / 일본 외무상 : 내년도 심사는 새로운 제도 속에서 이뤄지는 게 바람직합니다. 심사제도 수정을 계속 요구할 겁니다.]
앞서 지난 5월 한중일 등 8개 나라 시민단체는 위안부 피해자가 성 노예 상태였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관련 자료 2천 7백여 건에 대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했습니다.
유네스코는 내년 4월 심사에 들어가 여름쯤 등재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에 이어 유네스코 분담금 납부 2위 국가인 일본은 올해 480억 원의 분담금을 내지 않으며 유네스코를 강하게 압박하고 있어서 일본의 시나리오대로 제도가 뒤바뀌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YTN 최명신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4_20161102160016995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