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평균연봉 1억원…다시 떠오른 '횡재세' 논란
[앵커]
지난해 주요 은행들의 임직원 평균 연봉이 1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경기는 어려운데 은행들만 돈 잔치를 벌인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횡재세'를 거둬야 한다는 논의가 재점화되고 있습니다.
박지운 기자입니다.
[기자]
역대급 실적을 거뒀던 은행들이 성과급을 올리면서, 18개 은행 중 10곳의 평균연봉이 1억 원을 돌파했습니다.
5대 시중은행의 임직원 평균연봉은 모두 1억 원을 넘겼습니다.
앞서 은행권은 이례적으로 간담회까지 열면서 늘어난 이자 수익에 대해 해명하는 자리를 마련했지만, 이자장사로 손쉽게 돈을 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은행이 기간산업으로서 안정적으로 자금중개, 지급결제 기능을 수행하려면 규모에 상응하는 수익을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융당국 국정감사에선 '횡재세'를 비롯해 초과이익 환수에 대한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저희는 모든 가능성을 검토해보고,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필요한 정책이 다르기 때문에…."
'횡재세'란 특수한 상황에서 막대한 수익을 거둔 업종에 부과하는 초과이윤세를 뜻하는 말입니다.
대표적으로 유럽연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오르자 화석연료기업을 대상으로 '연대기여금'을 신설했습니다.
이중과세라는 비판과 "못 벌면 돌려주느냐"는 볼멘소리도 나오지만, 윤석열 대통령까지 비판에 나서자 일단 은행들은 눈치만 보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사회적 합의가 중요한 사안이라고 제언합니다.
"변동금리 대출이 많이 나갔기 때문에 금리 인상의 리스크를 소비자들이 떠안고 그 대가로 은행들은 막대한 이득을…무리한 제도보다는 은행들도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금이나…."
다만 금융당국은 아직 횡재세 도입을 구체적으로 고려하고 있진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 (
[email protected])
#은행 #초과이익환수제 #횡재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