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브리핑] 北 정찰위성 발사 임박…南 "초고성능 무기 개발"
[앵커]
지난 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안보 이슈를 다시 정리해보는 토요일 대담코너 '한반도 브리핑' 입니다.
이번 주부터는 외교안보, 국제 분야 담당하는 이준삼 기자가 맡아 소식 전하게 됐는데요.
안녕하세요.
[앵커]
먼저 이번주 한반도 관련 주요이슈, 어떤 것들이 있었나요?
[기자]
이번 한 주 역시 한반도 정세를 뒤흔들만한 여러 이슈들이 줄줄이 이어졌습니다.
불과 열흘 전, 기존보다 한층 진일보한 고체 기반의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쏘아올린 북한이, 이번엔 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했습니다.
북한의 핵능력이 갈수록 빠르게 향상되는 모습인데, 한국과 미국은 강력한 경고 메시지와 함께, 또 실질적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북억제 능력 강화 차원에서 '초고성능, 초강력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혀 이 무기의 정체를 놓고 다양한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대만 관련 발언에 러시아, 중국이 반발하면서 앞으로 한반도 문제에 어떤 변수로 작용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앵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 된 시일 내'에 발사하라, 이렇게 지시했다는 북한매체 보도가 나왔죠.
고체형 ICBM을 발사한 직후 이뤄진 행보인데, 발사가 언제쯤 이뤄질 것으로 보이나요?
[기자]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 시찰 과정에서 나온 지시사항이었는데요.
북한방송 보도를 보면 위성 제작은 이미 완료된 것 같습니다.
직접 들어보시죠.
"김정은 동지께서는 4월 현재 제작·완성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할 수 있도록 비상설 위성발사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최종 준비를 다그쳐 끝내며…."
'계획된 시일'을 특정하긴 어렵지만, 전문가들은 이르면 이번 달 안에 발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근거를 들어보자면, 국가우주개발국이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내겠다고 작년 말에 공언한 바 있어선데요.
[앵커]
아직까지 구체적인 발사 사전 징후들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고 하죠? 문제라도 생긴 걸까요?
[기자]
북한이 '위성'을 발사해온 서해위성발사장은 현재 공사 중인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마땅한 다른 발사장이 없으니까, 물리적으로 오늘 내일 쏘는 건 어려워 보이고요.
김 위원장이 최종 준비를 다그쳤단 대목을 보면, 아직 미진한 측면이 있는 것 아닌가라고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한반도 정세를 뒤흔들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을 보고 있을 개연성이 커서, 발사 시점이 올해 중반이나 하반기 정도로 늦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얼마든지 가능할 거 같습니다.
[앵커]
핵을 보유한 북한이 군사정찰위성까지 갖게 된다면, 우리군은 물론 미군 기지까지 들여다볼수 있어 한미엔 더욱 위협적일수도 있을 텐데요.
하지만 북한의 기술 수준이 과연 그 정도가 될까하는 의문도 적지 않단 말이죠. 이 부분 어떻게 보시나요?
[기자]
일단, 북한 정찰위성 1호기는 저궤도 위성이 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대기 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상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데요.
그래서 앞으로 5년 간에 걸쳐 다수의 정찰위성을 발사할 예정입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 보면서 좀 더 말씀 드리면요.
전광판 쪽에, '군사정찰위성'이란 글씨, 또 위성처럼 보이는 흐릿한 윤곽 보이시죠.
[앵커]
말 그대로 윤곽만 공개했군요.
워낙에 기밀이다 보니까 철저하게 모자이크 처리를 했나 보네요.
[기자]
과거 북한이 발사한 위성들, 또 몇 가지 단서를 토대로 이러저런 분석이 나오는데요.
일단 첩보, 정찰위성 목적을 이루긴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아 보입니다.
우선 북한은 전방위적 제재로 첨단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이고, 그동안 북한이 공개해온 위성 이미지 화질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점 등에서 그런 해석이 나오는데요.
북한이 지난해 12월 공개했던 인천, 서울을 찍은 위성사진인데 우리측 전문가들 사이에선 좀 '조악하다'는 혹평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북한이 쏘려는 위성에 고성능 초정밀 카메라가 탑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고요.
특히 신냉전 구도 속에 중국이나 러시아와의 밀착 관계를 생각하면, 이런 움직임, 과소평가하기 어렵다는 반론도 적지 않습니다.
[앵커]
북한의 군사위성 발사계획에 한국와 미국 등 주변 국가들의 움직임, 또 한번 분주해지고 있죠.
우리 정부와 미국의 대응 상황도 짚어주시죠.
[기자]
한미일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이번 위성발사를 역시 ICBM과 같은 장거리탄도미사일 개발의 일환으로 보고 있습니다.
ICBM이나 위성이나, 발사기술 자체가 사실상 동일하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북한은 이를 평화적 위성 발사라며 강하게 반발해구요. 게다가 최근에는 또다시 "핵보유국 지위"를 부각했는데요.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반응,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은 유엔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입니다. 북한은 핵과미사일 개발을 통해서는 결코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할 것이며 국제사회로 부터 더욱 고립될 것입니다.
미국에서도 "북한이 핵무기로 공격한다면 핵보복도 역할을 하게 된다" "진심"이라는 고위당국자(존 힐 미 국방부 우주 미사일방어 담당 부차관보 / 미 의회 청문회)의 경고장이 나왔는데요.
미군이 최근 ICBM인 미니트맨-3을 시험발사한것도 이런 경고음과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의 위협을 거론하며 초고성능, 초강력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죠.
이 무기의 정체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 어떤 무기로 봐야 할까요?
[기자]
비밀리에 개발 중이 무기인 만큼, 당연히 시간이 지나봐야 진짜 정체는 알 수 있겠죠.
다만 기존에 공개된 우리 군의 북핵 대응능력 강화 행보 속에서 몇 가지 추정은 가능해 보입니다.
우선 탄두 중량이 9톤 에 달해 '괴물 미사일'로 불리는 현무-5나 극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