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내릴까?…2022 집값 점검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오프닝: 이준흠 기자]
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 함께 보시죠.
[영상구성]
[이준흠 기자]
대한민국 최고의 화두, 부동산을 빼놓을 수 없죠.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값은 이미 오를대로 오른 상태인데요.
하지만 최근 일부 지역에서 하락세가 나타나며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데, 과연 대세 하락 신호일까요?
최지숙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수도권 집값 이상 기류…집값 하락 국면 진입? / 최지숙 기자]
직장인 31살 김범영씨는 주말이면 살 집을 찾아 부지런히 이른바 '임장'에 나섭니다.
하지만 최대한 아껴 적금을 붓고 대출까지 끼어도 현실은 녹록치 않습니다.
숨만 쉬고 월급을 모아도 서울에 집을 사는 데 38년이 걸린다는 분석대로, 치솟은 집값 앞에선 무력하기만 합니다.
"아무래도 집값도 많이 뛰었고 금리도 금리고 대출도 많이 막혔거든요. 그러다보니 청년들이 월급 모아 집 사기가 힘든 것 같아요."
현 정부 들어 두 배 이상 뛴 서울 집값은 수도권에 이어 전국으로 번졌습니다.
그런데 석 달 전부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지방발 하락세가 수도권 외곽을 거쳐 서울로 이어진 겁니다.
장기 급등 피로감과 규제 여파에 서울에선 공황 매수가 몰렸던 외곽 중저가 단지부터 가격이 꺾였습니다.
지난주에는 금천·노원·성북·은평 등 서울 4개 구에서 아파트값이 내렸고 경기도에선 5개 시·구가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매매수급지수와 실거래가지수도 꺾이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세 부담 축소와 규제 완화를 내건 대선 주자들의 공약까지 나오자 거래 자체가 실종됐습니다.
"(파는 사람도) 양도세를 완화해준다는 기대감에 망설이고, 사는 사람도 세법을 낮추고 취득세를 조정한다고 하니 서둘러 살 필요 없지 않나… 지난해 10월 이후 거래를 못 해봤어요."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은 지난주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추가 인상을 예고했습니다.
"여러 가지 기준으로 비춰보면 기준금리가 1.5%가 된다 하더라도 이것을 긴축으로 볼 수는 없겠다…"
기준금리가 또 오르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금리 등이 연쇄적으로 뛰어 돈 빌리기는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집값의 대세 하락을 장담하긴 이르다고 말합니다.
작년 오피스텔 광풍에서 보듯 잠재적 주택 수요는 여전한데 공급은 올해 더 줄기 때문입니다.
"최근 가격이 내린 사례를 보면 (기존 매물의) 처분이 다급해 급매 처리한 경우가 많고 고가 아파트는 여전히 버티기를 하는 수요자가 많아서…본격 하락을 점치기에는 이른 감이 있습니다."
잇따르는 인기 지역의 신고가 행진에 양극화 심화 우려도 큽니다.
"지역에 따라 시세보다 싼 매물이 나올 수 있는데, 통계상 발표되는 수치와 소비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 지수 간 괴리가 심한 한 해가 되지 않을까…"
집값이란 함수는 이렇게 복잡하지만 시민들의 바람은 한결같습니다.
"올해는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 내 집 마련에 희망을 가질 수 있는 한 해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코너:이준흠 기자]
돈되는 대로 영혼까지 끌어모으고, 무조건 가격이 오르니 일단 청약은 신청하고 보라는 이런 신조어가 유행이었습니다.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서는 서울에 집사는 걸 포기했다, 아예 내 집 마련 자체를 포기했다, 이런 단어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내가 못사도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데요. 어떻게든 집을 장만했으면 다행인데, 자금이 부족했거나 시기를 놓쳐, 다른 사람의 집값이 오르는걸 지켜보기만 해야 하는 마음도 굉장히 쓰립니다.
앞으로는 또 어떤 부동산 신조어가 등장할까요? 뭐가 됐든 좋은 내용은 아닐 것 같은데요.
지난해 1월만 해도 부동산을 바라보는 소비자들의 반응은 뜨거웠습니다. 경남과 제주를 제외하면 전국 시도가 모두 주황색으로 표시돼 있습니다.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르고, 거래도 늘어날 거라고 시장이 판단한 것입니다.
하지만 1년만에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대부분이 파랗게 변했죠. 매수심리가 꺾이며, 시장을 관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다는 뜻입니다. 특히, 대구와 세종은 이렇게 회색으로 채워졌습니다.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 거란 전망이 큰 건데요.
[이준흠 기자]
실제 현장 분위기는 어떨까요? 대구에선 대규모 아파트 미분양이 발생하고, 전국 최고 폭등지역이던 세종시도 큰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요.
정지훈 기자가 지역 부동산 상황을 현장 취재했습니다.
[대구 미분양·세종 급락…늘어나는 하락 지역 / 정지훈 기자]
대구 동구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입니다.
대단위 단지 공사가 한창이지만 초기 대규모 미분양 사태로 지금도 분양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대구 미분양 주택 물량 60% 이상이 이곳 동구에 집중돼 있습니다.
2021년 11월 기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1만2,622호.
그런데 대구가 비수도권 전체의 35%를 차지합니다.
미분양 여파는 지역 주택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대구지역 집값은 1년 8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고, 거래 절벽이 심화하고 있습니다.
"대구 지역에 미분양이 많이 발생돼 있고, 또 최근 기존 아파트 거래도 많이 안되고 있습니다. 거래절벽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되는 부분이 있고…"
2020년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뛴 세종시는 지난해엔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
실제 이뤄진 거래만 반영해 최근 시장 상황을 나타내는 실거래 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대구가 1.35% 내린 것을 비롯해, 5대 광역시 중 1.2% 오른 광주를 빼곤 모두 하락했습니다.
이 지수 역시 세종시가 전국 시도중 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