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정세는 미국과 중국, 러시아, 일본 등에 둘러싸인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해 국제 정치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대표되는 지금의 국제 정세 속에서 내년(2022년) 한반도 정책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한연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2021년, 오히려 심화된 미-중 갈등.
특히 미국이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이후,
그동안 미국과 중국이 경쟁적으로 진행해 온 '세 불리기'의 결과가 보이콧 참가 여부로 가시화되는 모양새입니다.
[보리스 존슨 / 영국 총리(지난 9일) : 장관이나 정부 인사가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석하지 않아서 사실상 외교적 보이콧이 될 것입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 러시아 대통령(지난 15일) : 시진핑 주석과 회담을 하고 나서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것입니다. 초청에 감사드립니다.]
미국과 중국의 이 같은 경쟁을 오히려 북한이 활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홍제환 /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핵심은 미중관계가 어떻게 되느냐…. 북한이 등거리 외교에 상당히 능수능란하기 때문에 지정학적인 유리한 조건을 이용해서 핵무기 확장과 함께 외교적 독자성을 확보하고, 이런 데 매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이 되고요.]
그렇지만 내년에 미국은 중간선거, 중국은 20차 당 대회 등 굵직한 내부 일정들이 있어 상대적으로 상황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한반도 문제는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때문에, 한반도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코로나19 관련 협력이나 이산가족 상봉 등 남북관계 진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민태은 /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 남북 관계가 좋은 쪽으로 변화의 바람이 일어나면 미국도 그것을 무시하거나 그 부분을 못 본 척하기는 굉장히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거든요.]
2021년 한 해, 진전은커녕 현상 유지에 만족해야 했던 한반도 정세!
복잡다단한 국제 역학관계를 역으로 활용해 내년엔 다시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YTN 한연희입니다.
YTN 한연희 (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12300403543426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