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자는 침대에서 발암물질 '라돈'이 나와 충격을 줬던 '라돈 침대 사건' 기억하실 것입니다.
사건이 발생한지 3년이 지났는데 문제가 된 침대와 침구류를 아직도 폐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다시 간다, 우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판된 침대에서 방사성 발암물질 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건 지난 2018년 5월입니다.
당시 정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문제가 된 침대와 침구류를 대량 수거했습니다.
그런데 수거 제품들을 폐기하는 방법이 담긴 법령은, 두달전인 지난 9월에 시행됐습니다.
라돈 침대들을 다른 폐기물과 일정 비율로 섞어 태운 뒤 매립하라는 내용인데, 사건 발생에서 법령이 나오기까지 3년이 걸린 겁니다.
그동안 해당 침대 회사의 충남 본사엔 폐기를 기다리는 7만개 이상의 매트리스가 그대로 쌓여 있었습니다.
적치돼 있는 침대들옆으로 엄청난 양의 일반 쓰레기들이 함께 쌓여 있습니다.
[이성진 / 환경보건시민센터 정책실장]
"5월에 방문해서 상황을 봤더니 (방수포에) 듬성듬성 구멍이 뚫린 부분이 있었죠. 야외에 적재해놓고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는 않고 있다고 봐요."
이들 침대 7만개 등 11만4천개의 라돈 제품들이 전국 곳곳에 수거돼 쌓여 있습니다.
그중 한 곳인 경기도 평택의 한 업체는 쌓아 놓았던 라돈 검출 침구류 2700 여 개를 지난해 11월 임의로 없애버렸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처리하라는 관계 법령이 마련되기도 전에, 무단 폐기한 건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두달이 지나서야 이같은 사실을 알았고, 업체는 2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았을 뿐입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
"그 부분(폐기과정)은 알려드리기 어려울 것 같고요. 어쨌든 저희가 세부적으로 추적조사는 다 했다. 최종적으로 안전에 문제가 없음까지…"
[이덕환 /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방사성 문제가 있는 공산품의 안전관리를 현실적으로 담당할 행정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는…"
법령 시행 두달이 지난 시점이지만, 수거된 제품들을 처리하겠다는 폐기 전문 업체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환경부 관계자]
"적정업체가 변경허가를 득하지 않고 있어서 현재까지 처리업체가 없는 겁니다. (폐기업체는 왜 신청 안 하는 거예요?) 지역 주민과의 갈등이라든지 우려하는 부분이 크다고 판단이 됩니다"
라돈 제품을 쌓아놓고 있는 생산 업체들은 환경부 지침만 기다리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대진침대 관계자]
"(어떻게 폐기할 계획인 건지?) 계획은 잘 모르는데, 환경부 지침이 떨어져야…"
[김영식 / 국민의힘 의원]
"법안만 통과되면 안전하게 폐기하겠다 홍보했었습니다. 그렇지만 아직 폐기계획도 잡지 못하고 있다… 적절한 대책 마련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
라돈 침대 등이 3년 넘게 야적돼 있는 것에 대해, '안전엔 문제가 없다'는 것이 관계 기관들의 입장이긴 하지만, 이들에 대한 폐기 작업이 언제 이뤄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다시간다' 우현기입니다.
PD : 윤순용
AD : 권용석
작가 : 박정민
우현기 기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