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렇게 방역 체제 전환까지 검토하는 것은, 현행 거리두기 효과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그런 내용의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채널A가 단독으로 입수한 서울대 의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거리두기 규제가 시민들의 이동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허욱 기자가 자세히 분석해드립니다.
[리포트]
[서울 성북구청 공무원]
"출입자 명부 작성 다 하고 계세요? (네.) 환기나 소독도 잘해주고 계시고요?"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가 7주째 접어들면서 구청 공무원들이 안내에 나섰습니다.
끝이 보이지 않는 거리두기에 신경전도 벌어집니다.
[조원재 / 서울 성북구청 위생과]
"저희한테 화를 내시는 경우도 있어요. 기간이 많이 길어지니까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현장의 어려움과 달리, 거듭되는 거리두기 규제가 실제 이동량 감소에 갈수록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국내 연구진의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코로나 대유행마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시행됐는데, 구글의 위치기록 데이터 등을 통해 이 시기 사람들의 이동량을 비교했습니다.
1·2차 코로나19 유행 때는 거리두기 조치 이전보다 이동량이 감소했지만 3차와 이번 4차 때는 거의 변화가 없었습니다.
지난달 12일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 시행 후에는 오히려 공원 지역의 이동량은 증가하기도 했습니다.
[홍윤철/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까지 올라갔지만, 이동량 감소에는 큰 효과가 없는 상태여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은 거의 소멸해 간 거 아닌가 이렇게 생각이 듭니다."
그보다는 정부의 거리두기 4단계 격상 보름 전에 이미 카페와 상점으로 향하는 발길이 줄었습니다.
정부가 거리두기 조치를 내리기 이전에 시민들이 스스로 판단해 이동을 줄인 겁니다.
연구진은 코로나 확산세를 잡으려면 거리두기보다 밀접접촉자 관리에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채널A뉴스 허욱입니다.
허욱 기자
[email protected]영상취재 : 이기상
영상편집 : 변은민
자료출처 : 서울대 의대 홍윤철 교수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