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회 난동 거센 후폭풍…'선동 책임' 트럼프 고립무원
[앵커]
미국은 의회 난동 사태 후폭풍이 거셉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사실상 지지자들을 선동했다는 책임론이 부상하고 있고 경찰 대응을 둘러싼 논란도 일고 있는데요.
워싱턴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경희 특파원.
[기자]
사상 초유 의회 폭동 현장을 목격한 미국 사회는 적잖이 충격을 받은 모습입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조금 전 연설을 통해 "어제는 미국의 민주주의와 법에 전례없는 폭력이 가해진 가장 어두운 날"이었다며 "그들은 시위대가 아니라 반란자, 폭도, 테러리스트"라고 맹비난했습니다.
지난 4년간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민주주의와 헌법이 무시돼 온 것이 어제의 폭력을 촉발시켰다고 비판했습니다.
일단 경찰과 수사당국은 의회 진입을 주도한 인물을 찾는데 주력하고 있는데요.
워싱턴 DC 경찰과 FBI는 시위대 핵심 인물의 사진과 영상을 SNS에 올리며 검거를 위해 시민들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또 지금까지 68명을 체포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특히 지난해 5월 워싱턴 D.C.에서 벌어졌던 인종차별 반대 시위 때와 다른 경찰의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어제 경찰의 저지선이 시위대 앞에서 맥없이 뚫리는 모습이 전 세계에 중계되면서 과연 경찰의 대응이 적절했는지 의문이 제기되는데요.
뮤리엘 바우저 워싱턴 DC 시장은 어제의 사태는 교과서적인 테러라며 시위대에 대한 수사 뿐 아니라 치명적인 보안 실패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실제 의회경찰은 의회 인근에서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는 데도 낮은 장벽을 설치하고 폭동 진압 장비가 아닌 제복을 입고 있었습니다.
소셜 미디어에 올라온 한 영상에는 경찰이 시위 참가자와 사진을 찍는가 하면, 시위대가 더 가까이 다가오도록 보안 장벽을 열어주는 장면이 담겨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요.
특히 이같은 대응은 지난해 5월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이후 촉발된 인종차별 반대 시위 때와는 대비돼 더욱 논란인데요.
워싱턴포스트와 CNN 등 미 언론은 즉각 주방위군이 총동원되고 하루 수십명이 체포됐던 인종차별 반대 시위 때와 너무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 당시엔 워싱턴DC와 11개 주에서 주방위군이 동원됐고 워싱턴DC 외곽엔 현역병까지 배치됐으며 군용 헬기가 저공비행하며 시위대 해산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바이든 당선인도 "어제의 사태가 인종 차별에 항의하는 'Black lives matter' 시위대였다면 분명 아주 다르게 다뤄졌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 이제 임기가 2주도 남지 않았는데요.
핵심 참모들까지 등을 돌리고 있고 의회에서는 탄핵 주장까지 나오고 있죠?
[기자]
네. 임기를 단 13일 남기고 우군들마저 등을 돌리면서 고립무원으로 내몰리는 형국입니다.
매슈 포틴저 국가안보부보좌관이 어제 사태에 책임을 지고 사임한 데 이어 일레인 차오 교통부 장관도 내각에서는 처음으로 어제 사태를 이유로 사임의사를 밝혔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핵심 우군이었던 행정부 2인자 마이크 펜스 부통령과 의회 1인자인 미치 매코넬 상원 원내대표도 어제 사태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에게서 완전히 등을 돌린 모습인데요.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낸 믹 멀베이니도 북아일랜드 특사직에서 사임한다고 밝히면서 "트럼프의 성공 리스트는 어제 모두 다 사라졌다"고 말했습니다.
의회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해임 요구까지 나오는데요.
민주당은 물론 공화당에서도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해 트럼프 대통령을 해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수정헌법 25조는 대통령이 직을 수행할 수 없다고 판단될 경우 부통령이 직무를 대행하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요.
공화당 소속 애덤 킨징어 하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국민 보호 의무를 포기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며 "내각에서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민주당 소속의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은 펜스 부통령이 수정헌법 25조를 발동하지 않으면 의회에서 탄핵에 나서겠다고 말했습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