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청 내용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되자, 정부 여당은 난감해하고 있습니다.
첩보 경로와 자산이 노출되면서, 북한 감시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겁니다.
정말 그럴까요?
강은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남북이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두고 엇갈린 주장을 하면서, 사실 여부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우리 군의 첩보 내용이 노출되고 있습니다.
대북 감청 내용이라며 문장까지 세세하게 공개되자, 정부여당에서는 우리의 첩보 수집 방식이 북한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이두희/ 국방부 정책실장 대리]
"군의 민감한 첩보 사항들을 임의로 가공하거나 무분별하게 공개하는 것은 우리 군의 임무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안보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은 "첩보를 입수하는 경로나 자산이 다 노출되면 우리 군이 재구축 노력을 해야 한다"며
"몇 년은 걸린다"고 말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군 작전을 수행할 때는 보고가 암호로 이루어지지만 이번처럼 수색 작전을 펼칠 때는 암호가 아닌 평문, 즉 평상시 사용하는 언어를 씁니다.
실제 정보당국 관계자는 "이번 감청 내용은 모두 암호가 아닌, 평문으로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경우 보통 북한이 감청을 막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대책은 보고가 이뤄지는 주파수를 바꾸는 건데, 하루 이틀이면 다시 파악할 수 있단 게 전문가의 설명입니다.
[한철용 / 전 국군 대북감청 부대장]
"작전 상황이 아니고 수색 구조 활동을 평문으로 날린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보안 유지도 아니고, 우리가 발표했다고 해서 저들이 크게 역대책 세울 것이 없어요."
하지만 무분별하게 첩보 내용이 공개될 경우, 자칫 인적 네트워크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일각에서는 국방부가 관련 첩보를 너무 성급하게 공개하면서 논란이 커졌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
영상취재 윤재영
영상편집 이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