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경찰의 언론 사찰은 YTN에만 국한되지 않았습니다.
사찰 대상에는 지상파 3사를 비롯해 국가 기간 통신사인 연합뉴스와 지역, 인터넷매체까지 그야말로 전방위적인 불법 사찰을 벌여 약점을 캐냈습니다.
박기완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이정현 / 前 홍보수석 : 국장님, 나 요거 한 번만 도와주시오. 아주 아예 그냥 다른 걸로 대체를 좀 해주든지 아니면 한다면 말만 바꾸면 되니까. 한 번만 더 녹음 좀 한 번만 더 해 주시오. 아이고.]
[김시곤 / 前 KBS 보도국장 : 그렇게는 안 되고 여기 조직이라는 게 그렇게는 안 됩니다.]
박근혜 정부 정보경찰의 방송 사찰 활동이 가장 두드러진 건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직후입니다.
이정현 당시 홍보수석의 KBS 보도 개입 파장이 커지자 언론사를 담당하는 정보 경찰이 바빠졌습니다.
공영방송인 KBS와 MBC의 사찰 문건에선 우파 성향 사장을 임명해야 한다고 청와대에 보고했습니다.
[오동운 / 언론노조 MBC본부 위원장 : MBC가 누구보다 먼저 (세월호) 보도량을 더욱 축소하고 드라마 예능을 먼저 시작했다는 건… 권력자들의 부탁 등이 있지 않았을까, 그 당시에도 의심하고 있었고….]
이 같은 정보경찰의 언론 사찰 활동은 주요 언론사들의 약점을 캐는 데 특히 집중됐습니다.
민영 방송사인 SBS에 대해서도 마찬가집니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등 광고 수익 악화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걸 약점으로 보고했습니다.
국가기간 통신사인 연합뉴스에 대해선 정부에 부담되는 오보 사례를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정부 해명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는다고 적었습니다.
350억 원에 달하는 부처별 구독료를 조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압박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진보 성향 인터넷매체와 지역 언론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오마이뉴스 등 인터넷 매체에 대해선 기자 개인의 약점 등을 부각해 제압하는 전략을 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호남지역 등 지역 언론사에 대한 동향 파악도 '정책 정보'란 이름으로 수시로 이뤄졌습니다.
당시 정보 경찰들은 언론사 사찰 문건 작성이 선거 정보와 마찬가지로 관행이었다며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전 경찰 정보국 관계자 : 언론사 내 역학관계가 어떻게 된다, 다음 사장에 누가 유력시된다, 이런 걸 보고해야지. 그걸 못하면 무슨 정보입니까? 그게 잘못했다고 법원에서...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1905231637357178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