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신고리 5호와 6호기의 공사를 중단하기로 발표하면서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정책의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비용 부담과 전력 수급 불안이라는 우려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김병용 기자입니다.
[기자]
신규 원전 건설 전면 백지화부터 신고리 5호와 6호기 공사 중단까지, 새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원전 의존도가 높은 에너지 정책을 깨끗한 신재생 에너지 중심으로 바꿔, 국민의 안전과 신산업 육성, 그리고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두겠다는 게 정부의 청사진입니다.
[문승일 / 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 (탈원전 정책이) 새로운 에너지 체계를 만드는, 새로운 성장체계를 만들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하지만 에너지 정책 전환에 따른 비용 문제는 적지 않은 부담입니다.
신고리 5·6호기 매몰 비용만 이미 지급된 1조 6천억 원과 보상비용 1조 원을 합쳐, 모두 2조 6천억 원에 달합니다.
원전설비 제조업체들은 당장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2조 3천억 원 규모의 원자로와 터빈발전기 등을 공급하기로 한 두산중공업은 절반가량 돈을 지급 받았지만, 미리 구매한 자재 때문에 막대한 손실이 예상됩니다.
4백 곳이 넘는 협력업체들도 이미 인력과 설비를 확대한 상황이어서, 공사 중단으로 인해 자금난 위기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조성은 / 원전설비 제조업체 대표 : 원전 사업이 중단된다면 지금까지 10여 년간 준비한 것이 허공으로 날아가는 겁니다.]
또 전력 수급을 놓고도 의견이 갈립니다.
정부는 탈원전 정책 추진에도 전력 수급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원전 건설 중단으로 차질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는 2029년까지 수명이 끝나는 원전 11기의 발전 설비용량만 9.1기가와트로, 현재 가동 중인 원전 24기 전체 설비용량의 40%에 달합니다.
확실한 대책 없이 탈원전 정책을 밀어붙이다 자칫 전력 부족 사태에 직면할 수 있다는 겁니다.
[정범진 /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 : 원전 건설을 안 하면 '전원 믹스'(에너지원 구성)에 변화가 생기고 이는 전력 안정성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런 가운데 지역 주민들도 집단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새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갈등을 어떻게 해소하느냐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YTN 김...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2_201707010517135214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