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진규 / 기상청 예보분석관
[앵커]
이번 주 내내 궂은 날씨에 대비해야 될 것 같습니다. 주초에는 장마전선의 영향이 있고요. 또 올해 처음으로 발생한 1호 태풍 네파탁이 북상중이어서 주말쯤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상청 연결해서 호우와 태풍 전망 좀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우진규 예보분석관이 전화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 예보관님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세요.
[앵커]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고 있는 서울·경기도에 호우가 쏟아지고 있는데 밤부터는 빗줄기가 더 강해진다면서요?
[인터뷰]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현재 중부지방에 위치하고 있는데 오늘 밤부터 내일 아침 사이에는 이 장마전선 상에서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시간당 30mm 이상의 강한 비가 내리는 곳이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장마전선이 중부지방에 머물고 있다면 상대적으로 남부지방은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는 건가요?
[인터뷰]
상대적으로 장마전선이 중부에 있기 때문에 장마전선상에서 발달한 비구름떼의 영향으로 남으로는 다소 제한이 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남부지방 비는 일시적으로 소강상태에 들 것으로 전망되지만요. 이 장마전선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는 시기에는 남부지방도 비구름대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로 비가 내렸다 그쳤다를 반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앵커]
중부지방에 집중되지만 남부지방도 안심할 수 없다, 이런 말씀으로 이해하면 되는 겁니까?
[인터뷰]
그렇지만 강도는 다소 약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앵커]
모레까지 중부지방에 100에서 200, 많은 곳은 300mm 이상의 물폭탄이 예보됐는데요. 그래서 피해도 우려가 되는 상황인 것 같은데 이번 장맛비 심상치 않은 것 같습니다.
[인터뷰]
이번 비가 좀 심상치 않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는 지속 시간, 즉 비가 오는 시간이 매우 길기 때문인데요. 장마전선이 이동하지 않고 정체를 하기 때문에 그것에 따른 비의 양이 매우 많아진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또 한 가지는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서 막대한 양의 수증기가 유입이 되는데요. 이 수증기가 강수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비유를 하자면 비구름대는 일종의 발전기가 되겠고요. 수증기는 그 발전기가 꺼지지 않고 계속 돌게 해 주는 일종의 기름인데 이 기름이 매우 ...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8_201607041648013683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