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매년 유행하는 AI를 차단하기 위해 정부가 방역 대책까지 만들어 놨지만, 현실에서는 통하지 않았습니다.
초기 대응도 늦었고, 소독제 관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등 허점투성이였는데요.
올해 사상 최악인 AI 확산은 정부의 안이한 대처가 키웠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나현호 기자입니다.
[기자]
대형 방역 차량이 철새 쉼터를 향해 소독약을 뿜어댑니다.
철새 도래지는 물론, 농가와 주요 거점마다 방역을 강화하고 있지만, 올해 AI의 강력한 전파력을 막기엔 역부족입니다.
지난달 16일, 전남 해남 농가에서 발병한 AI는 불과 닷새 만에 서해안을 따라 전남 나주와 충북, 경기도 지역 농가까지 확산했습니다.
예년보다 훨씬 빠르고 동시 다발적인 전파임에도 정부는 AI 농장 발병 한 달이 지난 뒤에야 위기 경보단계를 심각으로 끌어올렸습니다.
정부의 대응 속도와 강도가 안일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준원 /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 이러한 매몰처분이나 이런 것을 결정할 때 국민 정서라든지, 방역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하거든요.]
농가에서 AI 예방을 위해 쓰는 소독약도 맹탕이었습니다.
AI가 발병한 농장의 소독제를 확인해보니 87%에 달하는 농장이 효과가 작거나 검증받지 못한 제품을 쓰고 있었습니다.
[정기헌 / 충북 오리협회장 : 정부에서 물 소독약 허가 내주고 아무리 쏟아부으면 뭣 할 거예요. 차라리 맹물 뿌리고 씻어내는 게 낫지. 이 소독약을 갖고 소독하라고 하면 이거 소독 잘못된 거예요.]
AI가 발병하면 24시간 안에 매몰 작업을 마무리하는 게 원칙이지만, 이마저도 지켜지지 않습니다.
워낙 많은 닭·오리를 묻어야 하는데,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실제 방역을 담당하는 일선 시·군 전담 인력은 3, 4명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김재수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우리의 대응 태세가 과거의 매뉴얼로 맞겠는가 이런 것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정부가 뒤늦게 AI 중앙수습대책본부를 꾸렸지만, 이미 방역 골든 타임을 놓쳐 사상 최악의 AI 대란을 만들었다는 책임은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YTN 나현호[
[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15_20161230000619547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